유럽영화리뷰(88)
-
[볼코노고프 대위 탈출하다] 1938년, 용서와 구원의 스탈린 앞잡이
‘나타샤’, ‘아나스타샤’ 같은 낭만적 이야기가 넘칠 것 같은 러시아 제국은 20세기 들어서면서 레닌과 볼세비키, 공산주의 같은 무서운 얼굴로 바뀐다. 결국 왕정국가는 무너지고 1922년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이 들어선다. 그리곤 1991년 고르바초프를 마지막으로 그 제국이 무너질 때까지 미국에 맞서는 초강대국가로 존재했다. 어떻게? ‘공산주의’라는 숭고한 이데올로기로? 시계추는 1938년으로 돌아간다. 레닌의 뒤를 이어 1922년 소련공산당 서기장을 맡은 스탈린은 죽을 때까지 30년 동안 소련과 세상의 절반을 ‘공산주의’로 장악했다. 물론 마르크스 사상만으로 인민을 무장시킨 것은 아니다. 영화 는 스탈린 치하의 한 시기를 극적으로 보여준다. 물론, 트로츠키도, 미제(!)와의 전쟁도, 카레스키의 강제이..
2023.11.24 -
[리턴 투 서울] 내 마음의 안식처는 어디인가 (데이비 추 감독, 2022)
태어나자마자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해외로 입양 간 아이의 운명에 관한 이야기는 많다. TV 아침교양 프로그램에서, 사회고발 시사프로그램에서, 애니메이션에서, 절망적인 영화로도 만나봤다. 이런 해외 입양아의 처연한 모습은 한국전쟁 이후 대규모로 발생한 전쟁고아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개발시대에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 갓난아기는 버려지거나 고아원을 거쳐 해외로 나간다. 그렇게 떠나간 한국출신의 해외입양아의 수가 20만을 뛰어넘는다고. ‘고아수출’이라는 오명까지 뒤집어써야 했다. 거기까지이다. 각자의 사연이 있으니. 오늘(3일) 개봉하는 프랑스 영화 은 그렇게 떠난 한국입양아에 관한 이야기이다. 전쟁고아는 아니다. 영화가 시작되면 씩씩한 프레디(박지민)의 모습이 보인다. 프랑스인이다. 2주의 휴..
2023.07.23 -
[자전거 도둑] 살아남아라, 훔쳐서라도! (비토리오 데 시카 감독,1948)
75년 전 영화가 한국 극장에서 개봉된다. 이탈리아 비토리오 데 시카 감독의 1948년 작품 이다. 파시스트 무솔리니의 이탈리아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국이 된 뒤 이탈리아의 모습은 짐작 가능할 것이다. 전쟁은 모든 국민을 고통 속으로 몰아넣는다. 당장 생계가 급한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영화 은 냉혹한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전쟁이 막 끝난 뒤. 로마의 발 멜라이나(Val Melaina)에 사는 안토니오(람베르토 마지오라니)는 아내 마리아(리아넬라 카렐), 아들 브루노(엔조 스타이올라), 그리고 갓난 아이를 부양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일자리를 찾고 있다. 겨우 일자리를 하나 구했는데 자전거가 꼭 필요하단다. 결국 아내는 침대시트를 전당포에 맡기고 예전에 저당잡힌 자전거를 찾아온다. ..
2023.07.23 -
[6번 칸] 무르만스크 행 기차의 우연한 여행자 (유호 쿠오스마넨 감독,2021)
지구본, 아니 구글맵을 펼치고 러시아 북쪽을 찾아보자. ‘무르만스크’(Мурманск)라는 동토의 땅이 있다. 이 영화는 그곳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로드 무비이며, 기차 영화이며, 힐링의 고행길이다. 8일 개봉하는 영화 (영어제목:(COMPARTMENT NO.6)은 핀란드 유호 쿠오스마넨(Juho Kuosmanen) 감독 작품이다. 핀란드 배우 세이디 하를라와 러시아의 유리 보리소포가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전체가 러시아에서 촬영되었다. 모스크바의 좁은 아파트를 떠나, 숨 막히는 러시아 장거리열차를 타고 무르만스크로 길을 떠난다. 추위와 눈, 불친절해 보이는 러시아 사람들과 부대끼는 한 핀란드 여자 유학생의 길을 따라가 보자. 영화는 1970년대 영국의 인기 록그룹 ‘록시뮤직’의 ‘Love Is The..
2023.07.22 -
[슬픔의 삼각형] 벌거벗은 평등과 공정의 모계사회
올해도 5월이 되었고, 어김없이 칸에서 영화제가 열리고 있다. 작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작인 스웨덴 루벤 외스틀룬드 감독의 이 개봉되었다. 스웨덴과 황금종려상이라.. 품격과 파격이 기대되는 작품일 것이다. 감독은 이미 (2018)로 한 차례 황금종려상을 받았었다. ,품격‘과 ’파격‘에 집착하는 칸의 선택을 한 번 보자. 영화는 젊은 패션모델 커플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둘은 젊고, 잘 생겼고, 그 나이의 젊은이답게 세상을 보는 눈이 자기중심적이다. 영화가 시작되면 젊은 남자들이 한껏 기대에 부풀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패션모델 오디션을 보는 중이다. 카메라를 든 남자가 그 사이를 누비며 가벼운 유튜브 영상이라도 찍는 모양이다. 관객들은 이 짧은 순간에 모델업계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게 된다. 발..
2023.07.21 -
[말없는 소녀] “사려 깊은 아일랜드 연풍”
존 포드 감독과 존 웨인이 함께 한 영화 중에 (원제:The Quiet Man,1952)이라는 작품이 있다. 아일랜드(에이레)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이다. 아일랜드는 영국 제도의 왼쪽에 있는 '독립국가'이다. 수도는 더블린이고, 시인 예이츠와 소설가 제임스 조이스를 배출한 나라이다. 31일 개봉하는 영화 는 바로 이 나라에서 만들어진 영화이다. 예이츠가 읊은 이니스프리의 목가적 풍경을 기대하거나, '벨파스트'의 총성을 떠올리게 하는 혁명의 영화일지 기대가 된다. 영화는 1981년의 아일랜드의 한 시골 마을에 사는 아홉 살 소녀 코오트(Cáit)의 이야기이다. 도박에 빠진 아버지, 자식이 네 명이 있지만 또 동생을 임신한 어머니의 방치 속에 위태롭게 자라고 있다. 학교에서 우유 잔을 엎질러 치마를 적시자 왠..
2023.07.21 -
[멘] 남성 폭력의 대물림, 혹은 악몽의 릴레이 (알렉스 가랜드 감독2022)
알렉스 갈랜드 감독의 데뷔작 [엑스 마키나]는 윤기가 흐르는 세련된 SF였다. [서던 리치: 소멸의 땅]과 [데브스]에 이어 내놓은 신작 ‘멘’(원제:MEN)은 ‘컨츄리 하우스 호러’이다. 그런 장르가 있다면 말이다. 남편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마음을 추스르기 위해 시골마을로 내려온 여자주인공은 계속되는 악몽에 시달린다. 그것은 ‘마을의 남자들’이 모두 그녀에게 불친절하게 대하거나 무례하게 굴거나, 폭력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것이다. 런던의 명물 런던아이(London Eye)가 저 멀리 보이는 아파트에서 하퍼 말로위(제시 버클리)는 남편 제임스에게서 폭력적인 위해를 당하자 나가라고 소리 지른다. 그런데 남편이 그 아파트에서 추락하여 죽는다. 사고사인지, 자살인지 모르지만 하퍼는 떨어지는 남편의 눈을 보았기..
2022.10.24 -
[더 렛지] 클리퍼행어 브리트니 애쉬워스
지난 주말 TV 영화소개 프로그램에서 스릴러 영화 한 편을 소개했다. 언제나 그렇듯이 영화 한 편을 다 본 듯한 친절한 줄거리 소개였다. 내용은 이랬다. 두 여자가 암벽 등반여행을 떠났다가 그곳에서 나쁜 남자들을 만나게 되고, 이 남자들이 한 여자를 죽인다. 나머지 여자가 이들을 피해 도망간다. 도망갈 곳은 위로! 깎아지른 듯한 높은 암벽을 타고 올라가는 것이다. 남자들이 뒤를 쫓는다. 이제 암벽등반실력만이 살 길이다. 여자는 살아날 수 있을까. 까마득한 절벽, 송진가루를 묻힌 손가락으로 아슬아슬 매달리고, 외줄에 의지하여 절벽 틈새에 뛰어든다. 시시각각 조여 오는 살인마 추적자들. 아이고, 조마조마해라. 그렇다. 영화는 결과가 궁금해진다. 그래서 끝까지 보게 된다. 물론, 관객들은 여자주인공이 살아남을..
2022.10.24 -
[뮤지컬 ‘킹키부츠’ 라이브] 커뮤니티, 정체성, 그리고 변태부츠 (Kinky Boots: The Musical, 2019)
“Everybody say yeah!” [박재환 2022.04.25] 뮤지컬 [킹키 부츠](원제:Kinky Boots)는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콘텐츠이다. 21세기 들어 영국 노샘프턴에서 벌어진 일련의 산업적 변화과정을 담고 있다. 오랫동안 이 지역 사회를 지탱하고 있던 제화공장들이 불경기로 잇달아 문을 닫게 된다. 프라이스 제화공장을 물려받은 젊은 사장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4대 째 동고동락한 노동자들은 하루아침에 해고되고, 공장건물은 사라지고 그 곳에 번듯한 신축아파트거 들어서면 되는가? 그때 찰리의 눈앞에 나타난 것은 ‘드랙 퀸’이다. 밤무대에서 여장을 하고 높은 하이힐을 신고 춤을 추는 인물이다. 문제는 거구(!)의 남자들이 신기에 하이힐의 뒷축이 부실하다는 것. 제화전문가의 눈에 새로운..
2022.05.22 -
[그 남자는 타이타닉을 보고 싶지 않았다] 안녕하세요 하나님 (테무 니키 감독, 2021, 핀란드)
[박재환 2022.03.04] 1998년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타이타닉]이 개봉되었을 때 그 영화의 인기는 어마어마했다. 친구와 대화를 이어가기 위해선 필견의 무비였다. 그런데 그 [타이타닉]을 안 본, 못 본 사람이 있다면? 핀란드의 이 남자가 ‘타이타닉’을 여태 보지 않은 이유를 따라간 본다. 핀란드 탐페레에 살고 있는 야코는 다발성경화증을 앓고 있다. 병세는 악화되어 시력은 상실했고, 하반신이 마비되어 하루 종일 집에서 휠체어를 탄 신세이다. 그의 유일한 낙은 전화로 누군가와 수다를 떠는 것이다. 저 멀리 해멘린나에 살고 있는 시르파는 그의 '폰팔'이자 '소울메이트'이다. 시르파도 큰 병을 앓고 있다. 복지사의 도움 없이는 꼼짝도 못하는 야코는 어느 날 큰 결심을 한다. 해멘린나의 시르파의 집을 ..
2022.05.22 -
[램 ] 아이슬란드에는 사람이 산다, 양이 산다, 그리고.... (발디마르 요한손 감독,2021)
발디마르 요한손 감독은 아이슬란드 사람이다. 영국 위쪽에 위치한 아이슬란드는 인구가 38만명 정도의 ‘오지’국가이지만 그 지리적 풍광 때문에 낯설지는 않다. 워낙 장엄한 천혜의 모습을 갖고 있기에 ‘프로메테우스’, ‘월터의 상상은 현실이 된다’, ‘왕좌의 게임’, ‘오블리비언’, ’인터스텔라‘ 등 수많은 영화의 로케지로 각광받은 땅이다. 바로 이 나라, 아이슬란드에서 최고의 흥행기록을 세운, 그리고 미국에서 개봉된 아이슬란드 작품 중에서 최고의 흥행기록을 세운 영화가 한국에서도 개봉되었다. 바로 ’램‘(원제:Lamb)이다. 아마, 한국에서도 최고흥행기록을 세운 아이슬란드 영화가 될 것 같다. 영화는 괴기스러우며, 환상적이며, 지극히 인간적인, 그러면서도 ‘동물의 왕국’이다. 이 혼란스러운 영화를 어찌 사..
2022.01.24 -
[베네데타] 수녀원, 신성모독, 그리고 폴 버호벤
지난 (2021.12월) 1일 극장가에 아주 논쟁적인-그리고 선정적인, 영화가 한 편 개봉되었다. 폴 버호벤 감독의 신작 [베네데타](원제:Benedetta)이다. 폴 버호벤 감독은 샤론 스톤이 나왔던 ‘원초적 본능’ 말고도 소재나 표현 측면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킨 작품이 많다. 하다못해 [스타쉽 트루퍼스]에서는 남녀 신병들의 샤워씬 촬영을 두고도 말이 많았다. 그런 그가 17세기 유럽의 닫힌 공간 ‘수녀원’ 내부의 은밀한 이야기를 한다고 하니 마음의 준비는 충분히 해둬야 할 것이다. 수녀들의 은밀한 일탈행동과 충격적 신성모독, 그리고 중세 화형식이 ‘분명’ 펼쳐질 것이니 말이다. ● 베네데타, “주님이 제게 말씀하셨어요” 배경은 17세기 이탈리아 토스카니 페샤(Pescia)의 테아티노회 수녀원(Theat..
2022.01.22 -
[신의 손] 나의 눈부신 친척 (파올로 소렌티노 감독/넷플릭스)
엘레나 페란테의 소설 그리고, HBO드라마 는 2차 세계대전 이후 패전국으로 살기 어려웠던 이탈리아 나폴리를 배경으로 라파엘라 세룰로와 엘레나 그레코의 눈부신 우정과 빛나는 성장담을 담은 작품이다. ‘나의 눈부신 친구’를 보고 나면 그 시절의 나폴리에 대한 애틋한 감상을 갖게 될지 모른다. 그런데, 딱 그 정서의 영화가 넷플릭스에서 나왔다. 지난 1일 ‘일부’ 극장에서 선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신의 손’(원제: E STATA LA MANO DI DIO/ The Hand of God)이다. ‘일 디보’, ‘그레이트 뷰티’, ‘유스’ 등 확실한 자신만의 영상미학을 보여주고 있는 이탈리아 파올로 소렌티노 감독의 작품이다. 영화는 1980년대의 이탈리아 나폴리로 관객을 데려간다. 영화 제목으로 쓰인 ‘신의..
2022.01.22 -
[운디네] 물속의 연인 (크리스티안 펫졸드 감독) KBS독립영화관 리뷰
게르만 민족이 뭐 특별난 인종이라고 우리네 사랑과 크게 다르진 않을 것이다. 독일감독 크리스티안 펫졸드는 꾸준히 독일 사람의 로맨스를 작품에 담고 있다. 지난여름 극장을 찾았던 에서는 아우슈비츠에서 살아돌아온 여자의 슬픈 로맨스였다. 오늘(2021.10.22) 밤 KBS 에서는 펫졸드 감독의 (원제:Undine)가 시청자를 찾는다. 운디네(폴라 비어)는 베를린 슈프레강이 내다보이는 박물관(Berliner Stadt-Modelle)에서 일하고 있다. 도시개발 전문 역사학자인 그녀는 이곳을 찾는 관광객, 탐방객에게 베를린 도시의 역사와 건물의 내력을 설명해 주는 가이드이다. 이날 아침, 운디네는 남친 요하네스로부터 이별을 통보받는다. 절망한 그녀 앞에 크리스토프(프란츠 로고스키)가 나타난다. 크리스토프는 ..
2021.10.31 -
[쁘띠 마망] 병약한 엄마, 야무진 딸 (셀린 시아마 감독)
격정적인 바이올린 연주의 비발디 ‘여름 3악장’이 귓가에서 떠나지 않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의 셀린 시아마 감독의 신작이 이달 개봉되었다. ‘워터 릴리스’, ‘톰보이’, ‘걸후드’ 등을 내놓으며 영화팬을 매료시킨 셀린 시아마 감독의 신작에서는 또 어떤 섬세한 영혼의 숨겨진 비밀을 전해줄지 기대된다. 신작 ‘쁘띠 마망’(Petite Maman)은 8살 여자아이의 이야기이다. 제목이 ‘작은(쪼그만) 엄마’라니. 무슨 이야기일까. ‘쁘띠 마망’은 축축한 느낌과 신록의 푸르름이 동시에 느껴지는 유럽 어느 전원도시에서 펼쳐지는 이야기이다. 방금 양로원에서 외할머니가 돌아가셨다. 어린 넬리는 할머니에게 작별인사를 못한 게 아쉬운 듯 이 방 저 방 돌아다니며 “잘 있어요”라고 인사한다. 그리고 할머니의 나무지팡이..
2021.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