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52)
-
[녹나무의 파수꾼] 히가시노 게이고의 휴먼 판타지 (양윤옥 옮김/소미미디어)
확실히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는 현재 최고의 인기를 누리는 일본 작가이다. 1985년 소설 데뷔작 이후 그가 쓴 수십 권의 작품은 한국에 번역 소개되었다. 그의 작품은 소설로뿐만 아니라 영화와 뮤지컬로도 만들어졌다. 놀라운 것은 그의 쉼 없는 창작열이다. 거의 해마다 새로운 작품을 내놓고 있다. 올봄 그가 내놓은 책이 바로 이다. 같은 정통 추리소설은 아니다. 같은 휴먼드라마이다. 덧붙여 에서 보여준 소프트한 불륜(?)의 추적극이 느닷없이 더해진다. 주인공 나오이 레이토는 보잘것 없는 청춘이다. 긴좌의 술집여자였던 엄마가 죽은 뒤 할머니 손에 자랐다. 아버지는 누군지 모른다. 유부남이었다는 것만 기억할 뿐. 그럭저럭 자랐지만 풀리지 않는 운명의 레이토는 절도죄로 재판을 받게 된다. 그때 그를 찾아온 ..
2020.03.30 -
[BOOK] 넷플릭소노믹스 "미디어생태계 대전" (유건식 한울아카데미,2019)
(박재환 2019.9.16) 최근, 내달 개막하는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를 앞두고 이용관 BIFF이사장과 전양준 영화제 집행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날 쏟아진 질문 가운데 가장 많았던 질문이 부산에서 상영하는 넷플릭스 작품과 관련된 것이었다. 실제, 부산영화제에서는 작년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영화 를 상영한데 이어 올해에도 등 네 편의 넷플릭스 영화가 소개된다. 어쩌면 이들 영화는 부산영화제를 ‘넷플릭스 홍보의 장’으로 이용하려는지 모른다. 넷플릭스는 영화계-정확히는 극장업계의 계륵인 셈이다. 재작년 봉준호 감독의 가 칸영화제 경쟁영화제부문에서 처음 상영된 뒤부터 넷플릭스는 영화계에 논쟁의 중심에 섰다. 영화산업에서 자국영화에 대한 완고할 정도의 보호정책, 울타리를 치고 있는 프랑스에..
2019.09.16 -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 발칙한 사랑의 당파싸움
(박재환 2010.08.31) 오호? 소설이 이렇게 재미있을 수도 있구나. 유치한 하이틴 로맨스인줄 알았는데 손에 쥐는 순간 한달음에 읽어버리게 되는 유쾌함과 코끝 찡한 감동이 있었다. (여기서 감동이라함은 극적 구성이 뛰어나다는 말임) 여자, 성균관에 들어가다. 조선시대에 말이다 조선시대, 정확히는 정조시대. 노론/소론/남인/북인이 제각기 무슨 주장을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른바 당파싸움으로 조선양반들을 ‘오늘날의 여야만큼 극명하게 쪼개놓았던 그 시절’ 이런 이야기가 전해진다. 남산 묵동의 한 가난한 양반집. 과거에라도 급제하여 집안을 일으켜 세워야할 김윤식 도령은 태어날 때부터 병치레로 골골거리는 신세.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그의 한 살 많은 누나 김윤희는 먹고 살기 위해 위험한 선택을 한다. 어렸..
2019.08.18 -
[연성결] 김용의 강호잔혹사 連城訣] 김용(1963)
(박재환 2004/5) 을 다시 올립니다. 지금 읽어보니 “아~ 연성결이 이런 내용이었군” 소리가 절로 나옴. 김용 소설이란 게, 무협소설이란 게 그런 모양입니다. ^^ 1972년 [녹정기]를 마지막으로 절필을 선언하기 까지 김용은 꽤 많은 무협작품을 내놓았다. 그중 [연성결]은 1963년에 홍콩과 싱가포르 신문매체 연재하기 시작했던 작품이다. 처음 연재 시 이 작품의 제목은 [소심검](素心劍)이었다. 모두 12장으로 이루어진 2권 분량의 꽤 콤팩트한 작품이다. 하지만 그의 다른 작품과 비교하면 무림강호의 비정함이 유독 강조된 작품이다. (혹시.. 김용 작품을 너무 많이 읽거나, 읽은 지 너무 오래된 사람을 위하여 …..) 스포일러! ** 줄거리가 자세히 나와 있으니 책 읽으실 분은 아래 내용 읽지 마세..
2019.08.18 -
[부용진](소설) 사람아, 아 사람아 (芙蓉鎭, 고화 지음)
[부용진] 芙蓉鎭, 고화(古華) 중국현대사에 있어서 ‘광기의 10년’이라고 일컫는 문화대혁명을 배경으로 한 영화가 몇 편 소개되었었다. 장국영의 [패왕별희]도 문혁의 광기를 그린 영화였다. 한때는 문혁(文革)을 배경으로 한 소설 [사람아, 아 사람아]라는 소설도 대학생들에게 꽤 인기를 끈 적이 있다. 하지만 문혁이란 광풍이 중국대륙을 휩쓸고 지나간 지 이미 한 세대나 지났지만 국외자일 수밖에 없는 한국 사람에게는 문화대혁명이 그들 중국인에게 정확히 무슨 의미를 지녔고, 어떤 집단최면으로 10억이 홀렸는지를 온전히 이해하기란 힘들다. 중국인 스스로도 그들의 기억 자체에서 잊어버리고 싶은 고통과 고난의 세월이었으니 말이다. 우리에게 중국 문혁의 고통을 생생하게 전달해 준 첫 번째 작품은 아마도 영화 일 것이..
2019.08.18 -
[나를 운디드니에 묻어주오] 아메리카 인디언의 비극
워드프레스로 다 옮겨 버릴거야! KBS미디어★박재환 2010.07.07 17:51 요즘 서부영화를 탐닉하고 있다. 존 웨인이나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쏘아대는 정의의 총질은 아니다. 할리우드에서 만든 서부 영화를 통해 미국이라는 나라의 탄생/건국신화를 살펴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길게 보면 1492년 콜럼버스부터, 독립전쟁, 남북전쟁, 그리고 보안관과 악당들의 이야기를 통해 한 나라의 모습을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건 내가 직접 책으로 낼 생각이고^^) 미국 서부영화를 보다보면 인디언을 만나게 된다. 지금은 서부영화 자체가 ‘거의’ 만들어지지 않으니 인디언을 만나보기도 쉽지 않다. 그러나 한때는 서부영화가 굉장한 인기를 누렸었다. 수많은 장르의 서부영화가 나왔다. 그런 영화에 등장하는 인디언의 모습은 어땠..
2019.08.12 -
[밤의 괴물] 스미노 요루의 이지메 탐구
밤의 괴물 よるのばけもの 스미노 요루 저/양윤옥 역 | 소미미디어 (박재환 2018.6.27) 일본작가 스미노 요루는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라는 다소 충격적인 제목의 작품이 애니메이션으로 먼저 소개되며 관심을 받았다. 그의 두 번째 소설 에 이어 신간이 번역 출간된다. 이다. 제목만으로 사람을 궁금하게 하고, 영화사들이 관심 갖게 만드는데 재주가 있는 듯 하다. 은 의외로 무겁고, 심각한 사회문제를 담고 있다. 소설을 읽어나가면서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짐작하고, 이해하고, 공감하게 된다. 소설은 일본의 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소년 앗치는 그 나이 소년들과 별 다를 게 없는 평범한 학생이다. 어떻게? 핸드폰에 빠져있고, 유튜브를 좋아하고, 학교와 학원을 오가는 평범한 삶? ..
2019.08.12 -
[멀티플렉스 레볼루션] CGV극장전 (조성진 지음)
MULTIPLEX REVOLUTION 멀티플렉스 레볼루션 영화산업을 확장시킨 숨겨진 힘 조성진 저 | ER북스 (박재환 2018.6.28) 올해 초 개봉된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의 에서는 여자주인공이 혼자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자신이 주거하는 집의 아래층에 위치한 허름한 극장에 매일 혼자 앉아 자신만의 영화세상에 푹 빠져드는 모습을 보여준다.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다들 자신만의 기억보따리 속의 영화관/극장에 대한 기억이 있을 것이다. 가장 괴이했던 ‘극장추억’은 군대 있을 때, 전남 함평에서의 기억이다. 당시 읍내에 작은 극장이 하나 있었다. 평일에는 영화를 상영하지 않았고 주말에만(명절에만 였던가?) 영화를 상영했다. 상상이 갈 것이다. 스크린엔 ‘비가 내렸고’, 의자는 엉망으로 망가졌고, 바닥에..
2019.08.12 -
[무지개를 기다리는 그녀] 인공지능과 드론이 만나다 (이스키 유 지음)
무지개를 기다리는 그녀 虹を待つ彼女 (이쓰키 유 저/김현화 역 소미미디어) (박재환 2018.3.19) 2016년 3월, 구글의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이 바둑 대결을 펼쳤다. 다섯 번의 대결에서 이세돌은 네 번째 대국에서 한차례 승리했다. 1승 4패! 압도적인 알파고의 승리였다. 알파고는 더욱 열심히 ‘혼자 공부’하면서 바둑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을 넘어서고 있다. 그런 ‘인공지능(AI)’과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흥미로운 소설이 한 권 출간되었다. 일본 이쓰키 유라는 작가가 쓴 소설 이다. 이쓰키 유는 법학과를 나온 웹 엔지니어출신이란다. 이 사람의 출신이 흥미롭다. 인공지능이 막 떠오를 때 이런 질문을 던졌다. “자동차 자동주행의 경우, 만약 브레이커가 고장 났다. 어딘가를 들이박아 강제스..
2019.08.10 -
[눈물] 쑤퉁이 새로 쓴 맹강녀 이야기 (쑤퉁/ 김은신 역 碧奴 문학동네 2007)
[눈물|碧奴] 쑤퉁(苏童) (김은신 역/문학동네 2007) (박재환 2009.9.14.) 중국현대작가 중에 쑤퉁(蘇童,소동)이라고 있다. 우리에겐 오래 전 장예모 감독의 의 원작소설 작가로 이름이 먼저 알려진 사람이다. 그의 소설은 최근 한국에서도 활발히 번역 소개되고 있다. 그중 이란 작품을 읽었다. 의 중국어 원제는 (碧奴)이다. 극중 여자주인공의 이름이 벽노(중국어로는 비누이다. 소설은 중국 만리장성 축성과 관련이 있는 맹강녀 전설(孟姜女哭長城)에서 모티브를 따온 작품이다. 소설을 읽기 전에 우선 맹강녀 이야기부터 하면. 중국에서 맹강녀 이야기는 우리나라 ‘환인 환웅 단군’ 이야기만큼 역사가 오래되었다 적어도 진시황(BC221)이 만리장성 쌓던 시절부터 약 2천 년은 더 된 옛이야기이다. 원래 이런..
2019.08.09 -
[눈보라 체이스]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 (양윤옥 옮김, 소미미디어)
일본 추리소설의 대가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가 돌아왔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내놓은 듯한 겨울시즌 맞춤형 소설 (양윤옥 옭김, 367쪽, 소미미디어)이다. 실제 스노보드를 즐기는 겨울스포츠 마니아로 알려진 히가시노 게이고가 과 에 이어 내놓은 이른바 ‘설산(雪山) 시리즈’의 3번째 작품이다. 취업을 앞둔 평범한 대학생 와키사카 다쓰미는 스노보드 매니아. 이날도 신게스 고원의 설산을 찾아 활주금지구역의 비밀스런 포인트에서 자기만의 스노보딩을 즐긴다. 아무도 밟아보지 않은 파우더 스노우를 활강하는 매력은 아는 사람만 아는 법. 그런데, 아무도 찾지 않을 것 같은 그곳에 한 여자가 있었다. 셀카를 찍으려는 그녀를 위해 사진을 찍어준다. 그녀가 남긴 말은 “내 홈그라운드 사토자와야!”라는 말뿐. 그리고..
2019.07.28 -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 블레이드 러너 원작소설 (필립 K. 딕/ 박중서 역 폴라북스)
[박재환 2017-10-20] 우주괴물 생명체의 놀라운 종족번식의 욕구를 담은 영화 의 리들리 스콧 감독이 1982년 내놓은 는 암울한 묵시록적인 미래를 담은 SF걸작으로 손꼽힌다. 무려 35년 만에 영화의 속편이 만들어졌다. 는 전설적 SF작가 필립 K. 딕이 1968년에 발표한 라는 꽤 기이한 제목의 소설이 원작이다. 필립 K. 딕의 소설이 영화에서는 어떻게 각색되었으면, 2017년 속편에서는 어떤 DNA가 남아있는지 다시 책을 펼쳐보는 것도 흥미로울 듯. (영화에 대한 스포일러에 민감한 분은 읽지 마시길) 1982년 만들어진 영화의 배경은 2019년이라고 나오지만, 원작소설의 시간설정은 1992년 1월 3일이다. (이날 하루 릭 대커드는 정말 힘든 하루를 보내야한다) 승자도 패자도 없는 핵전쟁이 일..
2017.10.21 -
[조선반역실록] 조선의 역사, 반역의 역사 (박영규 김영사)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지정된 은 태조에서 철종에 이르기까지 470여 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하였다. (일제 치하에 편찬된 고종/순종은 포함되지 않는다) 그 ‘조선왕조실록’을 다룬 책은 꽤 많이 나왔다. 인터넷에는 실록의 전문(한문과 한글번역본)이 올라와 있다. 200만권 이상이 팔린 베스트셀러 의 박영규 작가가 이번에는 실록에서 ‘반역’과 관련된 부문과 추려 한권의 책으로 엮었다. 이다. ‘12개의 반역 사건으로 읽는 새로운 조선사’라는 부제를 단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조선의 왕도 대단하고, 신하도 대단하다는 생각이 절로 든다. 국사편찬위원회의 ‘조선왕조실록’ 인터넷 사이트에서 ‘반역’을 검색해 보았다. ‘叛逆’이 351회, ‘反逆’이 197회 등장한다. 일반명사이니 많을 수 있..
2017.08.15 -
[불안한 엄마 무관심한 아빠] 불안은 육아를 잠식한다 (오은영 김영사)
SBS의 등 수많은 육아관련 프로그램을 통해 ‘국민육아의 멘토’, ‘육아의 신’으로 알려진 대한민국 대표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오은영이 새로운 책 를 내놓았다. 소아청소년 전문의로서 수많은 임상경험을 토대로 대한민국 부모들이 겪게 되는 육아의 문제를 날카롭게 분석한다. 요즘은 TV뉴스를 보기가 겁이 나는 이유 중 하나가 거의 매일 터져 나오는 가정폭력, 패륜, 존속살인 관련 소식이다. 운다고, 말 안 듣는다고 자식을 학대하고 때려죽이기까지 하는 뉴스를 볼 때마다 “아이를 낳았다고 다 부모가 아니다.”라며 “아이 키우는 데도 자격시험이 있어야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실제 대한민국에서 아이를 제대로 키우는 일이 쉬운가. 물론, 예전에는 애들은 때리기도 하면서, 친구와 다투면서, 그냥 놔둬도 알아서 잘 ..
2017.08.15 -
[호모데우스 미래의 역사] "인류 미래는 이럴 것이다!" (유발 하라리 지음)
모차르트의 파란만장한 삶을 연극무대에 이어 스크린에 옮긴 는 모차르트의 미들네임이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라틴어 단어로 보면 ‘Amadeus’는 ‘신’(神)을 뜻하는 ‘DEUS’와 관련이 있다. 전작 로 지적 충격을 안겨준 이스라엘의 박학다식한 유발 하라리 교수의 신간 제목은 이다. ‘슬기로운 사람’이란 의미의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에서 더 진화된 미래의 인류는 과연 신에 범접한 ‘호모데우스’일까. 이달 초 발간된 는 600쪽에 달하는 두꺼운 책이다. 역사, 철학, 군사, 종교, 문화, 생물, 심리, 의학 등 다방면에 걸쳐 인류의 진화를 파헤친 하라리 교수는 에라도 출연한 듯 휘황찬란한 인류문화와 과학문명의 발달의 역사를 뛰어난 통찰력으로 일필휘지 써내려간다. 먼저 책의 앞..
2017.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