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계영화 (아시아,아프리카,러시아,중남미)(37)
-
[총을 든 스님] 부탄에는 총이 없다 (파오 초이닝 도르지 감독)
우선 ‘부탄’이라는 나라. 북쪽으로는 중국(티벳자치구)과, 남쪽으로는 인도와 접하고 있는 남아시아의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면적은 38,394 km²로 서울 강남구 정도 크기이고 인구는 75만 명이다. 왕정국가였던 이 나라에서 국왕폐하가 어느 날 갑자기 민주적 선거를 치르겠다고 선포한다. 독실한 불교국가에서의 흥미로운 체제변화의 순간이다. 그것만 알면 이 영화가 더 재밌다. 물론, 이 작은 나라도 영화라는 것을 만든다는 것이 흥미롭다. 영화가 시작되면 조금 뜻밖의 정보를 전해준다. 2006년, 국왕은 TV, 인터넷에 이어 또 하나의 선물인 선거제도를 국민에게 안겨주겠다고 선포한다. 국민을 행복하게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게 뭐람? 가상현실이란 말인가 아니면 행복을 빙자한 세속적 타락의 출발점이 될 것인가..
2025.01.11 -
[로봇 드림] 우정의 조건 (파블로 베르헤르 감독)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는 말은 인간은 저 혼자 살 수 없으며, 끊임없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관계를 유지해야만 자신의 존재를 영위하고, 생존하고, 발전할 수 있다는 말일 것이다. 주로 경제적 이유나 정치적 이유로 이런 명제가 납득된다. 그런데, 꼭 인간만 그런 것은 아닐 것이다. 혼자보다는 여럿일 경우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으니. 여기 흥미로운 영화 한 편이 개봉된다. 13일(수) 개봉하는 스페인 파블로 베르헤르 감독의 (원제:Robot Dreams) 이라는 애니메이션이다. 거대로봇의 지구 지키기나 소년소녀의 꿈 이야기가 아니다. ‘개’ 한 마리와 ‘로봇’ 한 대의 상호작용과 유대, 관계와 우정에 관한 이야기이다. 마치 사람처럼, 사회적 동물을 의인화한 작품이다. 배경은 1980년대 뉴욕 맨..
2024.04.09 -
[어떤 영웅] 테헤란의 명예전쟁 (아쉬가르 파르하디 감독,2021)
이란 영화 한 편이 극장에서 개봉된다. 와 으로 아카데미외국어영화상(국제장편영화상)을 두 차례 받은 아쉬가르 파르하디 감독의 2021년 작품 이다. 아쉬가르 감독은 베를린과 깐에서도 상을 받았었다. 은 2021년 칸 영화제에서 핀란드영화인 ‘6번 칸’과 함께 공동으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이란 영화는 어떤 경향성이 있다. ‘저예산+서민+아동+휴머니즘’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적어도 우리나라에까지 소개되는 이란영화라면 말이다. 이번 작품은 어떨까. 이 영화를 통해 이란의 사법시스템, 특히 교도소의 재소자 관리가 어떻게 이뤄지는 엿볼 수 있다. 라힘 솔타니는 이틀간의 귀휴(교도소에서 며칠 가석방되어 집에 다녀오는 것)동안 정신없이 뛰어다닌다. 처남인 바람(Bahram)에게 15만 토만의 빚이 있었는데 ..
2023.07.22 -
[리뷰] 자마 ‘해변의 자마, 밀림의 비쿠냐 포르토’ (루크레시아 마르텔 감독,2017)
(2021년 8월) 25일 개봉하는 아르헨티나 루크레시아 마르텔 감독의 [자마](원제:ZAMA)는 우리에겐 낯선 공간, 잘 알지 못하는 시대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한 인간의 고통을 담고 있다. 그 남자의 고통은 시대적 상황에서 기인한다. 18세기 말, 스페인에서 왕에 의해 저 먼 남미 땅, 식민지에 왕실관리로 근무하고 있는 관리는 악화되기만 하는 상황에서 발버둥 친다. 영화는 1956년 안토니오 베네디토라는 작가가 쓴 동명의 소설을 영화로 옮겼단다. 영화는 따라잡기 힘들만큼 느릿느릿, 띄엄띄엄 서서를 이어간다. 식민지 작은 마을에 근무하는 디에고 데 자마(다니엘 지메네스 카초)는 치안판사라는 직책을 가지고 있지만 그다지 막강한 권한을 휘두르거나 원주민을 수탈하는 제국주의 충실한 종으로 보이진 않는다. ..
2021.10.31 -
[JIMFF리뷰] 야수의 밤 “아이언 메이든 공연, 꼭 보고 싶습니다”
지난 12일 개막하여 오늘(17일) 개막하는 제17회 제천국제음악영화제에는 모두 116편의 영화가 상영된다. ‘청풍명월의 고장’의 고장 제천에서 열리는 JIMFF는 ‘영화’와 ‘음악’이 조화를 이루는 매력적인 영화축제이다. “얼쑤~” 판소리에서 해드뱅잉 헤비메탈까지 다양한 음악과 소음이 별과 함께 쏟아지는 영화제이다. 이번 영화제에서 소개되는 [야수의 밤](원제:THE NIGHT OF THE BEAST)은 콜롬비아의 마우리치오 레이바 콕(Mauricio LEIVA-COCK) 감독의 데뷔작이다. 콜롬비아의 헤비메탈 매니아를 만나게 되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헤비메탈! [야수의 밤]은 콜롬비아 보고타의 고등학생 처키와 바르가스의 현실적 삶이 녹아있다. 술만 마시고 아들에겐 관심도 없는 아버지와 살고 있는 바..
2021.08.24 -
[잘리카투] 인도 물소 폭주하다
여름 극장가에 인도영화가 한 편 개봉된다. 인도영화라면 아주 오래 전 TV에서 부처님 오신 날이 되면 ‘신상’(神象,1971)이라는 영화를 내보냈었다. [춤추는 무뚜] 이후 소개되는 영화는 대부분 신나는 음악과 활달한 군무, 유쾌한 스토리가 주를 이뤘다. ‘볼리우드’라고 불릴 만큼 많은 영화가 만들어지지만 한국에 소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부산영화제 아니면 만나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5일 개봉하는 리조 호세 펠리세리 감독의 인도영화 [잘리카투](원제: Jallikattu,2020)는 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인도가 국제영화상(이전의 외국어영화상)후보로 올렸던 작품이다. 위키를 잠깐 찾아보니 인도에는 총 780개의 언어가 존재하며 이중 10만 명 이상의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는 216개, 헌법이 인정..
2021.08.24 -
[랑종] 관종 호러의 탄생 (반종 피산다나쿤 감독)
야산티야 가문의 저주 태국산(産) 호러는 흥미롭다. 하얀 구름이 휘휘 감도는 신령스러운 산이 보이고, 김동리 소설에서 보았음직한 서낭당이 숲속 어딘가에 자리 잡고 있다. 들판에는 소들이 논을 매고 있고 주름진 사람들의 얼굴에서는 아늑함과 낯섦을 더한다. 그러더니 지네가 지나가고 밤이 되더니 공포가 점령한다. 영화는 그런 식으로 서낭당과 검시소를 오가는 특별한 엑조틱한 공포감을 준다. 이번에 [곡성]의 나홍진 감독이 제작에 참여한 태국호러 [랑종]은 그런 익숙한 듯 낯선 공포를 안겨준다. 이 영화의 목표는 오직 사람을 끝장공포로 몰아넣는 것이다. 용감한 자는 버티고, 비위 약한 자는 티켓조차 끊지 말지어라. 태국은 우리나라의 5배 정도 넓이의 땅덩어리를 가지고 있다. 북동쪽에는 ‘이싼’ 지역이라고 있다. ..
2021.07.15 -
[JIFF리뷰] 첫 54년 - 약식 군사 매뉴얼 “이스라엘은 어떻게 그 땅을 차지했나”
혹자에게 영화감상은 우표수집과 같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특히 역사영화나 다큐멘터리를 볼 때는 말이다. 지난 주 막을 올린 제22회 전주국제영화제 [마스터즈] 섹션에서 소개되는 이스라엘 아비 모그라비 감독의 다큐멘터리 (원제:The First 54 Years – An Abbreviated Manual for Military)을 보면 그러하다. 러닝타임 110분짜리 이 작품을 보면서 우리가 몰랐던 중동 그 지역의 감춰진 역사의 한 면을 보게 된다. 한국 사람이 갖고 있는 이스라엘에 대한 생각은 주로 웅장한 음악의 OST와, [탈무드], 그리고 유대인의 우수한 DNA에 관한 전설 같은 이야기이리라. 아마도 21세기 이전, 영문 시사잡지를 보았던 세대라면 ‘가자지구’와 ‘서안지구’에서 펼쳐지던 폭동, ..
2021.05.04 -
[화이트 타이거] 닭장 속의 닭이 봉황이 되는 법
지난 2009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작품상 등 8개 부문을 휩쓴 영화 는 감추고 싶은 비참한 인도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영화의 원작소설을 읽어보면 영화보다 훨씬 쓰레기 같은, 막장의 인도 모습에 놀라게 된다. 그런데 소설을 쓴 작가가 인도 외교관이었다는 사실에 더 놀라게 된다. 자기 나라 얼굴에 먹칠을 하는 작품을 쓰다니. 그에 맞먹는 작품이 하나 더 나왔다. 지난달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The White Tiger, 감독:라민 바흐라니)이다. 하얀 호랑이(백호)이다. 백년에 한번 나올까말까 한 대단히 성스러운, 영물이다. 개천에서 용 나듯이, 인도 쓰레기 하수구에서 과연 백호가 나올 수 있을까. 인구가 14억이나 되는 이 나라는 세계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라고 한다. 소와 사람이 나..
2021.04.09 -
[영화리뷰] 나의 작은 동무, '나쁜 시절, 착한 아이' (The Little Comrade 감독:무니카 시멧츠)
소련(소비에트연방)이 붕괴되고 독립한 나라 중에 에스토니아가 있다. 지도에서 찾아보면 러시아의 왼쪽에 위치한 이른바 발트3국인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의 하나이다. 발트해 건너편엔 핀란드와 스웨덴이 있다. 에스토니아의 인구는 130만 명이다. 참 작은 나라이다. 에스토니아어를 사용하는 이곳 사람들은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오랫동안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 (제정)러시아의 지배를 받아왔다. 그리고 스탈린시대 소련의 점령으로 소비에트에 병합된 것이다.(USSR) 그런 에스토니아 영화를 본 적이 있는지. 14일 개봉되는 (The Little Comrade 감독:무니카 시멧츠)가 바로 극장에서 만나게 되는 에스토니아 영화이다. 이 영화를 통해 에스토니아와 러시아과의 관계를 만나볼 수 있다. 스탈린의..
2021.01.14 -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 “그 전엔 땀 흘리며 연습을 했다”
이 영화는 ‘조지아’ 영화이다. 트럼프의 운명을 가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미국의 조지아 주가 아니다. 소련 시절엔 ‘그루지야’로 불리던 곳이다. 내가 아는 그루지야는 고르바초프 서기장 시절의 소련에서 외무부 장관을 지낸 에두아르드 셰바르드나제가 소련 붕괴 후 그루지야의 대통령을 지냈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입김에서 벗어나고파 ‘그루지야’ 대신 영어식으로 ‘조지아’라고 불러달라는 나라이다. 이곳에서 만들어진 영화 (영어 제목: And Then We Danced)를 보았다. 레반 아킨 감독은 스웨덴 사람이다. 특이한 영화이다. 영화는 조지아의 민속춤을 추는 남자 이야기이다. 왠지 집시풍일 것 같은, 왠지 서커스단 같은, 아니면 아예 키예프의 정통 발레를 볼 것 같은 예감이 든다. 다 틀렸다. 조지아는..
2020.11.26 -
[부력] 캄보디아 소년노예 차크라를 아시나요 (로드 라스젠 감독, Buoyancy 2019)
지난 2월 열린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한 봉준호 감독의 은 ‘국제영화상 부문’(Best International Feature Film)도 함께 받았다. 작년까지는 ‘외국어영화상’(Best Foreign Language Fim)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었다. 이 트로피를 차지한 ‘국제영화상’은 다른 부문과는 달리 미국(LA)내 극장에서 꼭 상영될 필요는 없다. 미국 영화아카데미협회가 각국 영화단체나 기관에 추천을 위임하였고, 각 나라는 그해 자기 나라의 대표작을 ‘올림픽 국가대표’처럼 보낸다. 올해의 경우 한국의 을 비롯하여 폴란드, 북마케도니아, 프랑스, 스페인 작품이 최종후보에 올랐다. 다섯 편의 최종후보에는 빠졌지만, 오스트레일리아가 국가대표로 보낸 작품은 (Buoyancy)이란 작품이다..
2020.07.02 -
[뷰티 앤 독스] “여성긴급전화 1366” (아랍영화제) (카우테르 벤 하니아 감독 Beauty and the Dogs,2017)
(박재환 2018.6.3) 2010년말, 튀니지 혁명이란 게 해외뉴스를 장식한 적이 있다. 아프리카 북단에 위치한 튀니스를 시작으로 많은 중동국가에서 민주화 시위가 도미노처럼 벌어진 것이다. 이들 국가의 공통점은 장기독재와 정부의 부패, 인권유린 등으로 민중이 고통 받았다는 것이다. 게다라 무슬림의 영향(?)으로 여성의 지위는 극한의 상황이었다. 어땠을까. '중동의 봄'을 이끈 튀니지에서 당시 여성의 지위를 엿볼 수 있는 튀니지 여성감독의 영화가 한 편 한국에 소개된다. 지난 주 막을 올린 제7회 아랍영화제에서 소개된 카우테르 벤 하니아(Kaouther Ben Hania) 감독의 (원제:Aala Kaf Ifrit / Beauty and the Dogs,2017)란 작품이다. 작년 칸영화제 ‘주목할 만한 ..
2019.08.10 -
[화이트 갓] 개들의 역습 (코르넬 문드럭초 감독, White God 2014)
(박재환 2018.) 13일 밤 12시, KBS 1TV ‘독립영화관’ 시간에는 2014년 헝가리 영화 (Fehér isten/ White God)이 방송된다. 코르넬 문드럭초 감독의 이 작품은 그해 헝가리가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후보로 내세웠던 작품이다. 감독 이름도 그렇고, 출연자 조피아 프소타, 산도르 즈소테르, 릴리 모노리 등 배우들이 낯설다. 영화는 무시무시한 장면으로 시작된다. 인적이 끊긴 차도에 수십 마리, 수백 마리의 개들이 미친 듯이 내달린다. 자전거를 탄 소녀가 그 앞에 있다. 마치 미친 개떼들, 유기견의 습격 같다. 그리고 영화는 그 전 이야기를 펼친다. 13살 소녀 릴리의 엄마와 새아빠가 학회 참석차 몇 달간 집을 떠나게 되자. 릴리는 키우던 개 하겐을 데리고 아빠의 집에 잠시 가 ..
2019.08.10 -
[영화리뷰] 지붕 없는 집 (아랍영화제 상영작) (솔린 유수프 감독 House without roof 2016)
(박재환 2017.6.2)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많은 국제영화제 중 아랍영화제란 것이 있다. 아랍문화권과의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해 열리는 영화제로 아랍 국가의 신작 영화들이 소개되는 아주 소중한 영화제이다. 게다가 전편이 다 무료로 상영된다. 어제, 개막식을 시작으로 7일간 모두 12편의 아랍권 영화가 상영된다. 혹시 아랍권 영화 보신 적 있으신지. 물론 ‘아라비아 로렌스’는 영국(데이비드 린 감독) 영화이다 이른바 ‘아랍의 봄’ 이후 아랍국가들이 처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 집중 소개되는 ‘아라비안 웨이브’ 상영작 중 (House without roof)이 눈길을 끈다. 여성 감독 솔린 유수프(Soleen Yusef)의 작품이다. 이 사람의 고향은 이라크령 쿠르드 지역의 두호크이다. 아홉 살 때 ..
2019.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