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603)
-
[해야 할 일] ‘구조조정 앞에 선 노동자의 불안과 고뇌.. 인사담당자의 경우’ (BIFF2023 리뷰)
2021년, 정재영, 문소리가 나온 드라마 는 직장인의 치열한 생존기를 다루었다. 이 땅의 회사원, 직장인들은 그 드라마에서처럼 하루의 대부분을 회사를 위해 보낸다. 직장으로 가기 위해 만원 지하철에 시달리고, 죽도록 일하고, 다음날 다시 출근하기 위해 잠시 집으로 돌아온다. 그렇게 일하고, 그렇게 돈을 벌어 가족을 부양한다. 아이들을 키우고, 집을 장만하고, 애들 대학, 결혼까지 생각하면서 말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직장이란 그런 곳이다. 개인의 영달이나 인간관계의 확장 같은 이야기는 한가로울 때의 이야기이다. 그래서 ‘해고는 살인이다’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여기 그런 직장인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사람이 있다. 인사팀이다. 인사팀이 평소, 그러니까 한가할 때 무슨 일을 하는지는 익히 안다...
2023.11.24 -
[독전2] 리선생을 쫓았는데, 왕선생이었다니...
2018년 개봉된 이해영 감독의 은 배우들의 색깔 있는 연기와 감독의 뛰어난 연출력, 그리고 복잡하면서도 매력적인 스토리로 영화팬의 사랑을 받았다. 글로벌한 마약조직(판매/유통)이 있고, 미스터리에 싸인 보스가 있고, 야심에 불타는 중간책이 있고, 모든 것을 내걸고 이들을 쫓는 형사가 있다. 1편은 라스트의 한 발의 총소리 때문에 더욱 영화의 재미를 살렸고, 속편에 대한 기대감, 혹은 궁금증을 키웠다. 결국, 극장용이 아니라 넷플릭스 무비로 완성되었다. 지난 17일 공개된 넷플릭스 무비 에서는 전편에 이어 살아남은(!) 인물 조진웅(형사)과 차승원(중간보스 브라이언), 그리고 무서운 남매, 김동영과 이주영이 계속 출연한다. 서영‘락’ 역에 류준열 대신 오승훈이 출연하고, 한효주가 진하림(김주혁)의 ..
2023.11.24 -
[서울의 봄] 밤은 길었고, 봄은 짧았다 (김성수 감독)
박정희 대통령이 자기가 한때 믿었던 심복의 총에 유명을 달리한 것은 1979년 10월 26일이다. 독재자의 갑작스런 퇴장은 권력의 공백을 불러왔고, 야심만만한 군인들은 “다음 차례는 나야!”라며 청와대로 줄을 세운다. 그 길목에 ‘1212 군사반란’이 자리하고 있다. 김성수 감독이 재현한 그날의 이야기가 영화 으로 완성된다. 영화는 궁정동 안가에서 대통령과 경호실장을 총으로 쏘아죽인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이 보안사로 끌려가 고초를 당하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보안사령관이자 합수부장(1026사건합동수사본부장)이 된 전두환은 대한민국 최고의 권력기관인 중정과 청와대 경호실을 장악한다. 천생 문관이었던 최규하 국무총리가 대통령의 자리에 올랐지만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에 기대어야하는 상황이었다. 여기서 전두..
2023.11.24 -
[본 투 플라이] 타산지섬(他山之殲).. "Made in China 스텔스의 위협"
한국극장에서 중국영화 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언젠가부터 한국관객들은 ‘느와르 아니면 갬블러’ 일색인 홍콩영화도 안 보는데, ‘중화제일주의’로 무장한 중국영화를 볼 리가 있겠는가. 그리고 중국이 자기네들 인민해방군 건군90주년(2017), 중화인민공화국 건국70주년(2019),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2021)을 맞으며 쏟아낸 기념대작 역사물들은 더더욱 한국영화팬들의 발길을 끊어놓았다. 게다가 한국전쟁(중국에서 말하는 이른바 ‘항미원조전쟁’) 70주년을 소재로 한 영화들은 한국인의 신경을 건드리기도 했다. 그 와중에 한국극장가에 이른바 ‘국뽕스타일’의 중국영화 한 편이 개봉되었다. 다행히 한국역사를 건드린다거나, 우리 땅을 도발하는 프로파간다는 아니다. 오히려 우리나라 국방관계자, 방위산업체 종..
2023.11.24 -
[녹야] 판빙빙-이주영의 녹초가 된 하룻밤 (한슈아이 감독,2023)
지난달(2023년 10월) 열린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되었던 중국의 판빙빙과 한국의 이주영 배우가 주연한 중국영화 (원제:綠夜/Green Night)가 지난 1일 한국극장가에 개봉되었다. 는 ‘LGBT’스타일의 느와르 영화이다. 보기에 따라서는 지독한 멜로물이기도 하다. 영화는 한국 인천항의 국제여객터미널 보안검색대에서 시작된다. 판빙빙이 연기하는 진샤는 이곳을 이용하는 승객의 입국심사를 담당하고 있다. 검사대에서 ‘삐~’소리가 나면 좀더 꼼꼼하게 승객의 휴대품 검사를 한다. 방금 가방 하나만 메고 온 ‘녹색머리’의 여인(이주영)이 수상하다. 그리고 진샤는 이 녹색여인과 함께 악몽 같은 이틀의 시간을 보내게 될 것이다. ‘초록머리’ 여자는 인천과 중국(옌타이)을 오가며 마약을 옮기는 운반책이..
2023.11.24 -
[만강홍: 사라진 밀서] "배고프면 오랑캐의 살로 배를 채우며,목마르면 흉노의 피를 마시리라" (장예모 감독)
지난 주 막을 내린 아시안게임은 중국 쩌장(浙江)성 항저우(杭州)에서 열렸다. 항저우의 서호(西湖) 인근에 악왕묘(岳王廟)가 있다. 우리나라로 친다면 ‘이순신’급 민족영웅으로 떠받드는 중화민족의 영웅 악비(岳飛) 장군의 묘이다. 중국 인구는 14억 정도이고, 다민족국가이다. 물론 한(漢)족이 90%이상을 차지한다. 중국도 오랜 역사를 거쳐 이민족의 침략을 받았다. 12세기경에는 북방민족이었던 여진족이 요나라를 멸망시키고 금(金)을 세운 뒤 남쪽의 송(宋)을 정벌하려 남하한다. ‘금’의 군사공세에 젊은 악비(岳飛)는 의용군에 입대하여 혁혁한 군사적 승리를 이끈다. 악비의 군대가 고군분투했지만, 송은 연전연패하더니 1126년 ‘정강의 변’이라는 일컬어지는 변고가 생긴다. 결국 송은 금나라에 패하고, 화북을 ..
2023.11.24 -
[30일] “우리 이전에 사랑했던가요?”
“I am loving you.”가 문법적으로 맞는 말인가? 사랑엔 국경도, 남녀도, 시제도 없다고 한다. 중요한 것은 지금 이 순간, 그대를 너무나 사랑하고 있다는 것 아니겠는가. 그렇게 철석같이 믿었으니 둘은 결혼은 한 것이리다. 주위의 반대나, 둘의 현격한 차이도 잠시 잊고서 말이다. 그런데, 이런 결혼은 눈꺼풀에서 콩깍지가 떨어지면 금세 파경에 이른다. 여기 정열(강하늘)과 나라(정소민)가 그런 잘못된 선택으로 잘못된 길을 가게 된다. '만년 백수' 정열은 변호사가 되기 위해 미친 듯이 공부한다. 사이키조명이 신나게 돌아가는 디스코텍에서도 말이다. 그곳에서 운명의 여인 나라(정소민)를 만난다. 로코 드라마의 정석대로 둘은 주위의 극심한 반대를 이겨내고 결혼에 이른다. 그리고 온달과 평강처럼 산다..
2023.11.24 -
[거미집] “놀라운 걸작을 보여줄 거야!” (김지운 감독,2023)
영화잡지 과 의 편집장을 지냈던 이연호 기자가 2007년에 쓴 (한국영상자료원)에는 , , , , , 등 ‘지금 보아도 놀라운’ 작품을 남긴 고(故) 김기영 감독(1919~1998)의 온갖 기담이 담겨있다. 이연호 기자는 김기영 감독이 비극적인 화재사고 죽기 바로 전날 통화를 했단다. 그날 김 감독은 자신의 차기작인 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곧 놀라운 걸작을 보여줄 것이다”고 장담했었단다. 그리고, 2023년, 김지운 감독의 새 영화 에서는 송강호가 연기하는 김열 감독을 통해 ‘온갖 장애물과 훼방꾼이 가득한 영화판’에서 자기만의 걸작을 내놓으려고 발버둥치는 한 영화감독을 만나보게 된다. 1970년대, 서울 외곽의 커다란 촬영장 건물. 가건물 같이 보이지만 엄연한 당시 충무로 영화사의 스튜디오이다...
2023.11.24 -
[1947년 보스톤] “Venni, Vidi, Vinsi!“ (강제규 감독,2023)
손기정 선수가 일장기를 가슴에 달고 올림픽 금메달을 땄던 것은 1936년 독일 베를린 올림픽 때였다. 아돌프 히틀러가 한껏 게르만 민족의 우월함을 만방에 과시하기 위해 ‘우쭈주’하던 시절이었다. 손기정은 올림픽 금메달을 땄지만 그의 조국은 ‘일본’이었고, 그의 국기는 ‘일장기’였으면, 시상대에 오를 때 울려 퍼진 국가는 ‘기미가요’였다. 손기정 선수는 좌절하고, 분노가 치밀었고, 억울하고, 원통했을 것이다. 그리고 해방이 되었지만 한반도는 남과 북으로 갈라졌다. 바로 그 시점의 우리나라 스포츠 사(史)이다. 외세에 맞서 오랫동안 독립운동을 펼쳤지만 국제적으로 ‘대한민국’이 공인되기 전까지, 그러니까 국제적으로는 ‘남은 미국이, 북은 소련이’ 군정을 펼칠 때의 이야기이다. 손기정 선수는 해방된 한국에서 ..
2023.11.24 -
[천박사 퇴마연구소] "뭔가 이상한 일이 생기면, 누굴 부르지?.. 강동원!"
멀쩡하던 사람이 어느 순간 시름시름 앓더니 마치 다른 사람이 된 듯이 무서운 말들을 쏟아내고, 이해할 수 없는 몸짓을 보이고, 어떨 때는 인간이라고 할 수 없는 과잉행동을 할 경우, 그것이 단순한 육체적 질병, 정신적 결함에서 기인한 경우가 아닐 경우 어쩔 수 없이 ‘귀신이 들렸다’고 한다. 종교적인 색채를 가미하자면 ‘악령이 씌었다’고 하면 될 것이다. 이제, 인간계의 정신적 치료도, 가족애로도 극복 못할 지경에 이르면 필요한 것은? 고스트버스터나 엑소시스트가 필요할 때이다. 추석 연휴에 개봉된 영화 (감독:김성식)에 그런 존재가 등장한다. 강동원이다. 강동원은 이제 귀신을 쫓아내야 한다. 그로서는 처음 하는 일은 아니다. '전우치'에서도, '검은 사제들'에서도 해본 일이다. 이제달인에 이르렀을 그의 ..
2023.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