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영화리뷰(361)
-
[나이트 플라이어] 스티븐 킹의 공포 마크 파비아 감독 The Night Flier 1997
(박재환 1998.8.8.) 얼마 전, TV 주말의 영화 시간에 스티븐 킹 원작이라며 인가 하는 영화를 방영했었다. 기실 방영된 것은 이었다. 원작의 명성을 등에 업고 만들어진 아류작인줄 알았는데 찾아보니 실제로 스티븐 킹은 의 1편(84년), 2편(93년)에 이어 3편까지 각본 참여했었다. 스티븐 킹의 작품이 영화화 된 것은 TV 미니시리즈를 포함하여 50편 이상이 된다.(1998년 현재!) 이처럼 헐리우드가 좋아하는 작가가 또 있을까. 평가하기 나름이지만, 그의 작품 중 영화로 옮겨진 것 중 영화사가 바라는 빅 히트 작품은 의외로 적다. 하지만, 생각한대로 많은 매니아층을 거느리고 있다. 그는 작품 저술 전에 이미 판권료만 수백만 달러를 받고 있다. 미국에선 작품 저술 착수 전에 미리 선급금을 받고 ..
2019.08.07 -
[스터 오브 에코] 식스센스보다 조금 늦은... (데이비드 코엡 감독 Stir of Echoes 1999)
(박재환 2000.3) 이 영화의 원작자 리쳐드 매드슨(Richard Matheson)은 , (What Dreams May Come)을 썼고, 오래 전에는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오늘이 있게 한 소품영화 의 작가이기도 하다. 이 영화에서 베이비시터가 읽고 있는 책 (줄어드는 남자)의 원작도 바로 리처드 매드슨이다. 원작자의 면면만 보더라도 이 영화가 쉽게 의 아류로 치부할 수 없음을 눈치 챌 수 있을 것이다. 영화 의 매력은 주인공이 자신이 이미 죽은 줄도 모르고 현세에 연연하는 애틋한 러브스토리와 한 맺힌 사자(死者)를 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소년의 사연을 극히 영화적으로 꾸몄다는 것이 평단과 흥행 면에서 두루두루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영화 에서는 지극히 평범하게 살던 한 남자가 최면술..
2019.08.07 -
[텍사스 전기톱 살인마] 전기톱과 여자 (토브 후퍼 감독 Texas Chain Saw Massacre 1974)
(박재환 2001.7.26.) 1974년에 처음 세상에 선을 보인 텍사스 전기톱 살인마>(Texas Chain Saw Massacre)는 ‘TCM’으로 불린다. 당시 대학을 갓 나왔던 토브 후퍼가 '전기톱'을 가진 괴물이 '학살'을 펼친다는 아이디어를 가지고, 단지 14만 달러의 제작비로 6주간 촬영하여 완성시킨 작품이다. 이후 이 영화는 미국에서만 2,000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고 호러 영화사상 가장 각광받는 작품이 되었다. 최근 프리미어>>(한글판은 2001년 4월호에 실렸음)에서는 이 영화의 정말 엽기적인 제작과정이 기사로 실려 흥미를 더해주었다.저예산으로 갖은 고생과 위험(허술한 안전장치의 전기톱과 각종 동물시체의 부패를 막기 위해 동원된 포르말린 주사 등)을 감수하며 완성되었지만 실제로 영화배..
2019.08.07 -
[미저리]사이코 열성팬, 우상을 만나다 (로브 라이너 감독 Misery 1990)
(2002.6.17.) 타고난 이야기꾼 스티븐 킹의 라이프 스토리를 보니 꽤나 드라마틱한 면이 있다. 생모 밑에서 어렵게 자란 그는 학생시절부터 등사기로 마을신문 같은 인쇄물을 찍었고, 자신이 직접 '이야기거리'를 써서 친구와 이웃들에게 팔았다고 한다. 어렵게 단편소설을 잡지사나 신문사에 보내며 푼돈을 만지다가 어느 날 가 대형출판사에 팔리면서 오늘날의 스티븐 킹이 된 것이다. 그런 어려운 글쓰기의 시절이 있었기에 그는 수백만 달러의 원고료를 받아 챙기는 와중에 자신의 작품을 기꺼이 1달러에 영화 판권을 넘기는 경우도 있다. 는 그가 비행기를 타고 가다 꾼 꿈을 모티브로 지어낸 서스펜스이다. 이 이야기의 매력은 이미 스타가 된 사람이 자신의 성공에 스스로 실망을 느껴 변신을 시도하지만 그의 열성 팬이 그..
2019.08.06 -
[할로윈] 존 카펜터의 마스크 (존 카펜터 감독 Halloween 1978)
(박재환 1998.8.20.) 스포일러!! 유명한 을 못 본 사람을 위해 줄거리를 전격 대공개한다. 건너뛸 사람 건너뛰고... 1963년, 일리노이의 헤이든필드. 여섯 살짜리 어린 꼬마애 마이클 마이어스는 틴에이져 누나를 욕실에서 살해한다. 그때 소년은 광대 마스크(clown mask)와 망토를 뒤집어 쓴 상태였다. 경찰은 소년을 정신병원에 보내고, 그 소년의 담당의사 샘 루미스(도날드 플레센스)는 이 소년이 '대단히' 위험하다며 특수병동으로 보내어 관찰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루미스가 관찰하기로는 이 소년은 양심이나, 善이란 것은 전혀 모르는 악마라는 것이다. 15년이 흐른 1978년 10월 20일. 루미스 박사와 그의 간호사가 마이어를 법정에 보내기 위해 병동에 도착했을 때 마이어는 이미 병원을..
2019.08.06 -
[드레스트 투 킬] 에로틱 스릴러 (브라이언 드파머 감독 Dressed to Kill 1980)
(박재환 2002-10-7) 원래 이 영화는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적자로서 브라이언 드 파머 감독의 능력을 유감없이 보여준 에로틱 스릴러물로 평가받아야겠지만 우리나라에선 뜻밖에도 그냥 잊혀졌다가 어느날 갑자기 음악 때문에 유명해진 영화이다. 의 '여옥의 테마'가 이 곡을 표절했다는 것이 다시 유명해진 까닭이다. 브라이언 드 파머 감독은 1980년에 제랄드 워커의 소설 (Cruising)을 영화화 하고 싶어했다. 이 소설은 뉴욕의 게이 집단에서 벌어지는 한 살인마의 엽기적 살인행각을 다룬 것이다. 결국 이 작품은 윌리엄 프리드킨 감독에게 판권이 넘어갔고 브라이언 드 파머 감독은 대신 비슷한 분위기(엽기스러움--;)의 (Dressed to Kill)을 영화로 만든다. 물론, 그가 직접 시나리오를 썼다. 내..
2019.08.06 -
[식스 센스] 비밀을 공유하는 즐거움 (M.나이트 샤말란 감독 The Sixth Sense 1999)
의 감독 M. 나이트 샤마란은 인도에서 태어났지만 줄곧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자란 사람이다. 이 영화에서도 필라델피아의 역사적인 건물을 종종 보여준다. 올해 29살밖에 되지 않은 이 감독의 네 번째 작품이 미국에서 굉장한 흥행성공을 거두었고, 지난주 개봉되자마자, 우리나라에서도 심상찮은 흥행성적을 기대하게 만들고 있다. 이 영화는 기본적으로 의 영적 분위기와 의 애틋한 이야기가 적절히 녹아있는 신형 호러물이다. 영화의 시작은 부루스 윌리스가 연기하는 행복한 말콤 부부를 보여준다. 성공한 아동심리학자로, 시장으로부터 감사패를 받은 그는 아내와 함께 축배를 드는 순간부터 시작하여 관객에게 줄곧 긴장감을 안겨준다. 그러더니, 영화는 곧 한 정신병자의 갑작스런 등장으로 호러물 본연의 본 궤도로 진입하게 된다...
2019.08.06 -
[심야의 화랑] 오픈 유어 아이즈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 Night Gallery 1969)
(박재환 2002.4.23.) 헐리우드 아니, 세계 영화계의 '살아있는 거장'이라고 해도 전혀 어폐가 없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열성팬이라면 그의 초기 작품을 어떻게든 보았을 것이다. (75) 이전의 두 작품. (71)과 (74)말이다. 이 두 작품은 우리나라 TV(공중파와 케이블)에서 방영했기에 운 좋은 팬이었다면 보았을 것이다. 그런데, 스필버그는 그의 꼬마 때 찍은 전설적인 작품 말고도 몇 편의 인상적인 작품이 더 있다. 바로 1969년, 그의 나이 22살에 찍은 TV영화이다. 스필버그는 22살에 유니버셜과 감독 계약을 맺었다. 유니버셜과 맺은 최연소 감독으로 남아있단다. 스필버그가 유니버셜에서 맡은 첫 번 째 작품이 바로 라는 TV영화였다. 이 작품은 1989년 UIP-CIC에서 비디오로 국내..
2019.08.06 -
[엘리게이터] 사이즈가 문제다 (루이스 티거 감독 Alligator 1980)
(박재환 1999.9.23.) 나 어릴 때 - 그러니까 한 해에 들어오는 영화 편수가 뻔할 때- 여름이면 항상 핏빛 영화가 극장에 내걸렸었다. 그런 호러물 중 제일 처음 본 것은 아마도, 형과 함께 본 이었을 것이다. 난 두 장면에서 놀랬었는데 그때 형은 무덤덤하게 보고 있었다. 그날 이후 엄청 많은 영화를 보고서야 호러영화의 규칙을 알게 된 나로서는, 당시 영화를 별로 좋아하지 않던 형이 무척이나 용감해보였고 전지전능해 보이기까지 했었다. 왜냐하면 조용한 음악장면 다음엔 칼이 나타날 것이란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같은 여름 작품은 해마다 한국관객에게 즐거움을 안겨주었다. , , ..같이 호러영화 계보에서는 저만치 떨어진 B급 영화들이었지만, 당시의 한국관객 수준이나, 영화 수입업자의 심미안..
2019.08.05 -
[나의 사촌 비니] 조, 마치오, 토메이, 그리고 갬비니 (조나단 린 감독 My Cousin Vinny 1992)
오랜만에 깔끔하게 재미있는 코미디 하나 보았다. 로저 애버트 영화평을 보면 이런 영화는 극장에서 보는 것은 아까워도 비디오로 보는 것은 남다른 재미가 있다고 그런다. 전적으로 동감이다. 원래 법정드라마는 꼬이고 또 꼬이는 증거와 증인, 변호사와 검사의 불꽃 튀는 공방전, 그리고 어디에나 존재하는 근엄한 판사, 그리고 멍청해 보이지만 언제나 정의의 편에 서게 되는 배심원들. 그런 것이 함께 모여, 이렇게 저렇게 이야기를 꾸며나가는 것이다. 보통 마지막에 클린 펀치 하나로 누명 선 피의자는 무죄를 선고받게 되고 변호사와 껴안고 관객들과 더불어 "좋아좋아 아이 좋아.."그러는 것이다. 이 영화도 그런 판에 박힌 스토리 구조에서 단 한 치도 벗어나지 않는다. 이 영화의 주인공 조 페시와, 마리사 토메이, 그리고..
2019.08.04 -
[벤허] 윌리엄 와일러 감독의 종교 대서사극 (윌리엄 와일러 감독 Ben-Hur ,1959)
초중고 학생시절. 학교에서 단체로 영화 관람을 갈 경우 보는 영화는 거의 정해져 있다. [성웅 이순신]이나 [의사 안중근] 같은 애국영화 아니면 [벤허]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혹은 [아라비아의 로렌스] 같은 아카데미상을 받은 대작 사극영화였다. 이렇게 길고 지루한 영화를 어린 시절 어떻게 봤는지 경이롭다. 나이 들어 [벤허]를 다시 보았다. 어릴 적 기억으로는, 그리고 한동안 [벤허]는 해전 장면과 전차 경주 씬 때문에 전쟁 액션물로 먼저 기억된다. 하지만 영화 [벤허]는 확실히 숭고한 사명을 띤 종교영화임에 틀림없다. 영화 [벤허]는 원작이 소설이다. 미국의 류 월리스(Lew Wallace)가 쓴 [벤허: 그리스도 이야기](Ben Hur: A Tale Of The Christ)라는 작품이 세상에 ..
2019.08.04 -
[포비든 킹덤 - 전설의 마스터를 찾아서 ] 성룡과 이연걸이 싸운다면 (롭 민코프 감독 The Forbidden Kingdom, 2008)
(박재환 2008-5-7) 이 영화 수준과 딱 맞는 입씨름이 있다. ‘성룡과 이연걸이 무술대결을 펼친다면 누가 이기느냐’는 것이다. 물론 이 질문의 원천은 ‘성룡과 이소룡의 대결’이다. 그리곤 최근에 ‘성룡과 견자단이 싸운다면?’ 이라는 영화팬들의 소박한 가상대결도 있다. ‘돈 킹’ 같은 사람이 나서서 꾸미는 이종격투기 프로모션도 아니면서 이런 리얼 액션 스타들의 가상대결 구도는 영화 제작자들에겐 그야말로 꿈의 조합이었다. 지난 10여 년 동안 성룡과 이연걸을 더블 캐스팅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계속 어긋났다. 그리곤 마침내 할리우드 자본으로 불세출의 두 쿵푸 스타의 영화 속 대결이 성사되었다. 바로 롭 민코프 감독의 이라는 영화이다. 성룡과 이연걸의 대결에 롭 민코프가 메거폰을 잡았다는 것도 이상하지만 ..
2019.08.03 -
[사계절의 사나이] 신념의 인간 (프레드 진네만 감독 A Man for All Seasons 1966)
(박재환 2003-2-24) 1500년대 당시 영국 땅을 다스리던 헨리 8세는 앤 볼린이라는 여자와 결혼하기 위해 진작부터 마음에도 없는 아내와 이혼을 강행한다. 그 과정에서 로마 카톨릭과의 관계를 끊고, 이에 반대하는 수많은 신하들의 목을 쳐버린다. 이때의 이야기는 에서 드라마틱하게 보여준다. 그런데 당시 목이 날아간 신하 중에 토마스 모어라는 정치가=법률가가 있었다. 그 사람을 중심인물로 다룬 영화가 바로 라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1967년에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등 6개 부문을 휩쓸었다. 그럼, 영화의 이해나 박재환 리뷰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토마스 무어에 대한 ‘백과사전’식 설명부터 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런던의 법률가 존 모어의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캔터베리 대주교(大主..
2019.08.03 -
[15분] 악당들의 미디어 농간 (존 허츠펠트 감독, 15 Minutes)
(박재환 2001/6/9) ’15분(15 Minutes)’이란 제목은 이 영화의 주제를 명확히 드러내준다. 미국의 팝 아티스트 앤디 워홀이 “TV 때문에 누구나 자신만의 15분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라고 말한 후, 실제로 “15분”이라는 말은 이제 하나의 저널리스틱한 표현법이 되었다. 그것은 ’15분’만에 스타가 된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아마도 명동을 지나다 TV연예프로그램의 깜짝 쇼에 나오게 된다거나, 얼떨결에 범인을 잡는 것이 CCTV에 녹화되었다가 뉴스시간에 반복 방영되거나, 아니면 화재나 교통사고 등 재난사고에서 구사일생으로 살아난 후 각종 대담 프로그램에 나와서는 이상하게 스타덤에 오르는 ‘보통사람들’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15분’이면 이제 전국적 지명도의 스타가 되는 것이 불가능한 일..
2019.08.03 -
[알라딘] 디즈니의 매직램프 (가이 리치 감독 Aladdin,2919)
디즈니의 화수분 같은 금고에는 스타워즈, 픽사, 마블만 있는 것이 아니다. 창업자 월트 디즈니가 오래전 만들어 놓은 유물들이 여전히 반짝거리고 있다. 그걸 꺼내어 먼지만 털어내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재창조 작업을 한다. 그렇게 디즈니 클래식 애니메이션이 차례로 실사영화로 영화팬들을 찾고 있다. 최신작은 ! 1992년 로빈 윌리엄스가 수다쟁이 지니 요정으로 활약했던 애니메이션 의 실사판이 만들어졌다. 고아 알라딘이 자파의 계략으로 모래동굴에 들어갔다가 ‘세 가지 소원’을 들어주는 요정 지니가 똬리를 튼 마법램프를 손에 쥐게 되고, 그걸 문질러 공주 ‘자스민’의 진정한 사랑을 얻게 된다는 내용이다. 물론 마법의 카펫을 타고 “A Whole New World”를 부른다. ‘아라비안 나이트’와 알라..
2019.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