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영화리뷰(235)
-
[연분] 지하철에서 인연 만들기 (황태래 감독 缘份 Behind the Yellow Line, 1984)
(박재환 2003.4.25.) 1984년에 만들어진 이 홍콩영화는 꽤나 중요한 작품이다. 그 유명한 장만옥의 실질적 영화 데뷔작이기 때문이다. (실질적? 장만옥의 프로필을 보면 첫 작품은 왕정 감독의 (개구리왕자)로 1984년 4월 18일에 홍콩에서 개봉되었다. 은 10월에 개봉되었었고 말이다. 물론, 장만옥은 이듬해 개봉된 성룡의 1편의 성공 이후 영화배우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그전까지는 ‘미스 홍콩‘ 출신 연예인이었을 뿐이다. 그럼, 장만옥이 당시 한창 인기몰이를 하던 장국영과 출연한 은 어떤 영화인가. 아마도 극중에서 폴(장국영)은 제약회사 신입사원으로 등장하는 모양이다. 청운의 희망을 품고 지하철 티켓을 끊어 출근길에 나선다. 그런데 지하철에서 그는 첫눈에 쏙 반해버리는 여인 모니카(장만옥)를 보..
2019.08.13 -
[홍루춘상춘] 장국영의 데뷔작, 장국영의 홍루몽 (金鑫 감독,紅樓春上春 The Dream of the Red Chamber,1978)
(박재환 2005/5/16) 중국 청나라 건륭 연간에 지어진 [홍루몽]이라는 소설이 있다. 우리나라에는 서유기, 수호지, 금병매, 서유기 등 이른바 4대 기서에 비해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소설이다. 하지만 중국에서는 따로 작품 ‘홍루몽’을 연구하는 ‘홍학'(紅學)이라는 학문이 있을 정도로 굉장한 인기와 사랑을 차지하고 있는 소설이다. 우리나라에서도 10여 년 전부터 몇몇 출판사에서 [홍루몽]이 잇달아 번역출간되었다. [홍루몽]은 그 작가 조설근의 성장배경과 창작 과정에 얽힌 눈물겨운 사연을 들어보면 두 배는 드라마틱해지는 소설이다. 작가 조설근은 어릴 때까지는 떵떵거리던 대가집 출신이었고 어느 순간 중국 황제(옹건제)에 의해 가문이 박살나고 빈궁의 극치의 달리며 소설 집필에 매달리게 된다. 그 때문인지 ..
2019.08.13 -
[도시의 아이들] 홍콩 뒷골목 형제의 우정 (반문걸 감독 人海孤鴻, City Kids 1989)
(박재환 2002.2.7.) 홍콩에서 발행되는 격주간 영화잡지 [전영쌍주간](電影雙周刊)이 지난해 초, 밀레니엄을 맞이하여 ‘밀레니엄 100편 최우수홍콩영화’(世紀 100部 最佳香港片)를 선정한 적이 있다. ----가 1위에서 5위를 차지한 가운데, 이란 작품이 30위에 랭크되어 있다. 감독은 이진풍(李晨風). 그리고, 오늘 내가 비디오가게에서 어렵게 찾아낸 영화의 원제도 이다. 국내출시 비디오제목은 . 감독은 반문걸이다. 동명이작, 리메이크 작품인 것이다. 30위에 랭크되었던 은 1959년에 만들어진 이소룡 주연의 영화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 , , 그리고 의 바로 그 액션스타 이소룡이다. 이소룡은 아역 배우로 데뷔하였고, 몇 편의 걸작영화들에서 얼굴을 내비추었다. 그가 18살, 미국으로 떠나기 전..
2019.08.13 -
[암전] 유덕화, 유청운, 그리고 두기봉 (暗戰 Running Out of Time 1999)
(박재환 2002/12/28) 홍콩영화에 있어선 확실히 열성팬이 존재한다. 그것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우상에게만 집중된 것은 아니다. 그들은 이른바 고독한 작가영화, 아니면 자기만의 영상스타일리스트를 선정해 두었다.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쓰레기','킬링타임용 무비'에서 제 나름대로 건져낸 보석들을 하나씩 갖고 있는 것이다. 그중에 대표적인 홍콩영화인이 바로 '두기봉'감독이다. 두기봉 감독의 작품에 대해서는 서극 감독에 대해서만큼 논란이 많다. 홍콩의 형편없는 제작시스템 속에서도 꿋꿋이 자신의 영화 스타일을 지켜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이전에 두기봉 감독의 에 대한 얉은 리뷰를 썼다가 많은 비난을 받았었다. 그래서 이런 말부터 한다) 그럼, 은 어떨까. 의 시놉시스만 언뜻 읽으면 를 연상한다. 게리 그레이..
2019.08.09 -
[귀역=이역] 환경보호 호러물 (팽 브러더스 鬼域: Re-cycle, 2006)
(박재환 2006.7.10.) 팽 브라더스(팽순/팽발) 두 형제의 신작 호러물 (鬼域)이 최근 홍콩에서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중국에서 이란 제목으로 곧바로 DVD로 출시되었다. 홍콩에서는 홍콩 호러물로서는 개봉일 최고 흥행기록을 수립하였다. 역시 호러에 일가견이 있다는 팽씨 형제의 위상을 드높였다. 은 홍콩개봉에 앞서 지난 깐느 국제영화제에서 먼저 소개되었다. 당시 에 대한 평가는 '관습적 공포를 선사함과 동시에 환경보호문제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킨' 영화라는 평가를 받았다. 공포영화에서 '환경보호'라는 주제를 다루었다는 것은 확실히 생소한 결합이다. 영화는 홍콩의 베스트셀러 작가 이심결(李心潔,리신지에)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심결은 첫 출판한 로맨스 소설로 단번에 베스트셀러 작가가 된다. 기자회견이 ..
2019.08.07 -
[흑협2] 서극 영화의 모든 것 (서극 감독 黑俠II Black MaskII 2003년)
(박재환 2004/2/10) 이 영화는 1999년 개봉된 이연걸 주연의 [흑협]과는 그럭저럭 관련이 있다. 우선 제작을 맡았던 서극이 이번에는 직접 감독까지 맡았다. 1편의 내용은 인간의 고통세포를 제거, 변형시켜 절대 킬러로 거듭난다는 생체실험을 소재로 하고 있고, 2편은 유전자 조작을 통한 인간과 야수의 결합물이 등장한다는 것이다. 유전자 변형에 대한 시대적 우려가 높아 가는 가운데 적절한 소재이긴 하나 언제나 그렇듯이 서극이 감독을 맡았다는 이유 하나만으로도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흑협] 배트맨 이연걸 (이인항 감독 黑俠 Black Mask 1996) (박재환 2003.2.6.) 의 감독은 장국영이 나왔던 나 유덕화의 의 이인항 감독이다. '멜로 더하기 액션' 혹은 원래는 액션물인데 멜로라는 외..
2019.08.07 -
[유성호접검] 초원감독 쇼브러더스 걸작 무협물 (초원 감독 流星蝴蝶劍 Killer Clans 1976)
(박재환 2004.7.11.) 작년 부천국제영화제에선 장철 감독의 [복수], [독비도], 호금전 감독의 [대취협] 등 쇼 브라더스 걸작 무협물이 상영되었었다. 올드 팬들의 성원에 힘입어 올해에도 쇼브러더스 회고전이 준비되었다. 우선 그 중 한 작품을 소개한다. 영화 [유성호접검](流星蝴蝶劍)은 고룡(古龍) 원작 무협소설을 인기 판타지 소설가이기도한 예광(倪匡)이 시나리오 작업을 하고 SB(쇼브라더스)의 명감독 중의 한 사람이었던 초원(楚原) 감독이 1976년에 만든 작품이다. 당시 수많은 SB무협극의 액션장면을 연출한 당가(唐佳)와 원상인(袁祥仁)이 이 영화의 무술감독을 맡아 요즘과는 사뭇 다룬 스릴을 느끼게 하는 액션장면을 연출한다. 고룡의 [유성호접검]은 1993년에 양자경, 임지령, 왕조현, 견자단..
2019.08.06 -
[주락원] 모델들의 귀신놀이 (유위강 감독 咒樂園 The Park 2003)
(박재환 2004.2.18.) 요즘 가장 주목받는 홍콩 영화감독이라면 아마도 유위강일 것 같다. 촬영감독으로 출발하여 왕정 사단의 일원으로 수많은 '香港的'영화를 대량생산해내던 유위강 감독은 최근 [무간도]시리즈를 내놓으며 일약 홍콩영화계의 슈퍼스타가 되었다. 그가 복잡하게 꼬인 [무간도] 속편을 잇달아 만들면서 언제 여력이 남았는지 그 와중에 영화 한 편을 더 만들었으니 바로 [주락원]이라는 호러 물이다. 그것도 그냥 호러 물이 아니라 홍콩에서는 오랜만에 만나는 3D입체영화이다. 그러니까 셀룰로이드를 댄 안경을 써야만 제대로 볼 수 있는 깜짝 영화이다. 홍콩에서의 입체영화의 역사는 자료가 없어 알 수 없으나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그다지 영화팬의 관심을 끌만한 영화기술은 아니었다. 내가 기억하는 홍콩 입..
2019.08.06 -
[천약유정] 이 영화가 그 영화가 아닌가벼.. (두기봉 척기의 감독, 沙灘仔與周師奶 Royal Scoundrel 1991)
(박재환 1999.9.9.) 먼저 영화제목부터 설명. 우리나라 비디오 출시제목인 ‘천약유정’(天若有情)과 관련된 영화는 많다. 이 영화의 영어제목의 ‘Scoundrel’은 ‘악당, 무뢰한’이라는 뜻이다. 홍콩 원제목은 이다. 홍콩에서 큰 성공을 거둔 89년도 작품 은 은행강도 유덕화가 오천련을 인질로 붙잡으면서 둘은 사랑하게 되고 나중에 유덕화는 가스통에 얻어터지는 등 비참하게 죽는 비장미 철철 넘치는 영화였다. 그 영화의 감독은 진목승이었다. 두기봉은 그 영화의 監製(프로듀서)를 맡았었다. 이 영화가 국내에 개봉될 때의 제목은 로 바뀌어 개봉되었다. 그런데 실제 홍콩에는 오리지널 라는 영화가 따로 있었다. 1960년대 홍콩 영화계의 이면을 다룬 멜로물로서 유덕화와 유금령이 주연을 맡았고, 유우명이 감독..
2019.08.06 -
[중화영웅] 이연걸도 한때 영화감독이었다 (中華英雄, Born To Defence 1988)
(박재환 2006/3/22) 로버트 레드포드, 클린트 이스트우드, 죠지 클루니, 조디 포스터, 방은진. 이들의 공통점은? 배우로서 명성을 떨친 뒤 영화감독으로까지 영역을 확장시킨 사람들이다. 배우들은 자신의 연기력만으로는 분에 차지 않는지 가끔 외도를 한다. 액션스타들도 자신의 풍부한 액션 능력을 연기에만 한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감독으로도 곧잘 나선다. 성룡, 홍금보 등이 수많은 영화의 감독을 맡기도 했다. 이연걸도 영화감독으로 나선 적이 있다. 1979년 로 세계적인 리얼 액션 스타로 부상한 이연걸은 최근작 까지 3~40 편의 영화에 출연했던 이연걸은 딱 한 번 영화감독을 겸임했었다. 바로 1988년에 만들어진 영화 (中華英雄, Born To Defence)이란 작품이다. 물론 정이건과 서기가 나왔던 ..
2019.08.04 -
[로즈] 주윤발과 장만옥의 눈물의 멜로드라마 (양범 감독 玫瑰的故事 Lost Romance Story of Rose 1985)
(박재환 1999/8/4) 홍콩출신 배우 중에 외국에서도 변함없이 그들 이름값을 하는 배우는 성룡, 이연걸, 주윤발, 홍금보, 장만옥, 양자경 등이다. 그러나 엄밀하게 이야기하자면 미국인들에게 있어서는 이소룡 말고는 특별히 관심 갖고 지켜보는 배우가 없다. 근래 들어 성룡이 급부상하고 있지만 말이다. 주윤발은 와 등 이미 두 편으로 미국시장을 탐색해 보고 있지만 아직은 그다지 신통찮은 반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미국 영화제작자 입장에선 미국 시장만이 아니라 특정지역의 시장을 노리고 (중국, 동남아, 혹은 미국내 차이나타운 같은 식으로) 주윤발의 상품성을 계속 키우고 있다. 주윤발이 최근 조디 포스터와 공연한 이란 영화에서의 개런티는 미화 500만 달러 정도에 이른다고 한다. 이소룡은 브루스 리로, 성룡..
2019.08.04 -
[천장지구] 아! 덕화 오빠 (진목승 감독 天若有情 A Moment of Romance 1990)
(박재환 2005.4.28.) 세월이 흘러 중화권 스타들도 명멸을 거듭했다. 주윤발이 한국에서 '"사랑해요 밀키스"라며 음료수 CF를 찍은 것을 비롯하여 유덕화, 장국영, 왕조현 등 홍콩 아이돌 스타들이 줄줄이 한국에서 광고를 찍었다는 사실도 이제는 전설 속의 이야기처럼 들릴 뿐이다. 그런데 내 나이 또래의 사람이 기억하는 '최고의 홍콩영화 전성기'는 이른바 쇼 브라더스의 무협물이나 이소룡 영화, 혹은 명절 때마다 찾아오던 성룡 영화는 아니었다. 언젠가부터 '홍콩 느와르'라는 딱지를 달고 들어오던 영화들이다. 그 중에서 가장 기억에 선명하게 남아있는 작품은 바로 유덕화의 [천장지구]가 아닐까 싶다. [천장지구]를 통해 한 시절을 풍미한 홍콩영화를 돌이켜본다. 자료에 보니 [천장지구]는 지난 1990년 1..
2019.08.03 -
[스피드 4초] 사격왕, 연쇄경찰살인마 장국영 (鎗王,2000)
(박재환 2004.1.12.) 작년(03년) 4월, 홍콩의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中環文華東方酒店) 24층에서 차갑고 딱딱한 아스팔트 도로 위로 뛰어내려 삶을 마감한 장국영이 죽기 3년 전에 찍은 (창왕)란 작품은 그를 아끼는 팬들에겐 정말 끔찍한 영화라 아니할 수 없다. 스스로의 고뇌를 견디다 못해 극한적 행동에 나서는 극중 주인공의 연기는 에서의 장국영보다 더 가슴이 아프다. 영화의 원제목은 이며 영어 제목은 ‘더블 탭’, 혹은 ‘CONFUSION OF MIND’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라는 타이틀로 비디오로 출시되긴 하였다. 이 영화의 제작자 이동승과 감독 나지량은 장국영과 함께 이미 를 만든 적이 있다. (그리고 장국영의 유작 도 함께 작업했다.) ‘더블 탭’이란 사격대회에서 일반인은 거의 인지할 수 ..
2019.07.25 -
[동성서취] 원스어폰어타임 인 홍콩(射雕英雄传之东成西就,1993)
왕가위 감독이 최근 환갑을 맞았다. 지난 2016년 영국 BBC가 전 세계 영화평론가의 투표를 거쳐 선정한 ‘21세기 가장 위대한 영화 100편’ 중 왕가위 감독의 가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에 이어 2위에 랭크되었다. 왕가위 감독은 하바드 대학에서 명예 문학박사 학위도 받았다. 여하튼 왕가위는 대단한 감독이다. 그 왕가위 감독의 작품 목록 중에 특히 눈에 띄는 작품이 있으니 바로 ‘동사서독’과 ‘동성서취’이다. ‘동사서독’은 왕가위가 메가폰을 잡고 칸까지 진출했던 작품이며, ‘동성서취’는 그의 친구인 유진위가 감독을 맡고 왕가위는 제작을 맡아 ‘갈 데까지 갔던’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은 그야말로 대단한 히스토리를 가졌다. 지금은 그 이름의 위대함을 제대로 이해할지 모르겠지만 한 시대를 풍미한 기라성 같은..
2018.07.23 -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 “인연은 이어지고 삶은 계속된다”
[2017.12.7] 13살 초등학생 시절 ‘칠월’과 ‘안생’은 처음 서로의 존재를 알게 된다. 아마도 7월에 태어난 ‘칠월’은 평범한 가정에서 부모님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은 소녀였고, ‘안생’은 결손가정에서 ‘없이’ 자라 어쩌면 더욱 안정된 삶을 희구하는 소녀였다. 둘은 서로 흉금을 털어놓을 만큼 사이가 좋았다. 그들 사이에 남자 ‘가명’이 등장하기 전까진. 칠월과 안생은 흔들리는 10대를 지나 이제 어른이 된다. 세계관과 애정관이 달랐던, 그러나 ‘가명’이라는 존재를 공유했던 칠월과 안생은 세월이 지나 어떻게 변했을까. 그들은 서로에게 어떤 존재로 남아있을까. 7일 개봉하는 영화 (七月與安生)는 오랜만에 만나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이다. 피노키오 부른 ‘사랑과 우정사이’라는 노래를 알거나, 양다리 ..
2018.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