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영화리뷰(235)
-
[너는 찍고, 나는 쏘고] 홍콩킬러와 홍콩영화의 공통점 (팽호상 감독 買兇拍人 You Shoot, I Shoot 2001)
(박재환 2001?) 홍콩 영화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홍콩 영화인들 스스로가 이미 파악하고 있다. 장르영화에 집착하고, 집단최면이라고 말할 정도로 유행에 민감하며, 흥행작품에 대해 거리낌 없이 복제 재생산해낸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홍콩 영화는 [동방불패] 류의 무협물 아니면, [영웅본색] 류의 홍콩 느와르가 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 와중에 왕가위 같은 특이한 감독의 특별한 작품이 각광받고 있는 셈이다. 여기 팽호상(彭浩翔)이라는 감독의 신선한 작품을 하나 만나볼 수 있다. [매흉박인](買兇拍人)이라는 작품이다. 이 영화는 지난 7회 부산국제영화제(2002년) 때 [너는 찍고, 나는 쏘고](You Shoot, I Shoot)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고, 요즘 홍콩 영화가 다들 그러하듯이 며칠 극장에서 개..
2019.09.01 -
[불사정미] 사랑에 빠진 女킬러 (유위강 감독 不死情謎 Bullets of Love 2001)
(박재환 2001.7.19.) 살다보니 여명 영화가(‘천사몽’은 제외하고) 한국에서 '월드 프리미어'로 상영되기도 하구나. (2001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와 홍콩관광청의 특별행사로 한국을 찾았던 여명은 자신도 이 영화의 완성본을 아직 못 본 상태였다고 했다. 그러니까 이날 상영된 필름은 지난 4월 말에 촬영을 종료한 후, 편집 등 후반작업을 거치고 곧바로 한국에 공수된 것이다. 여명 팬들로서는 아주 기분 좋은 '월드 프리미어' 기회를 얻게 된 것이다. 이 영화는 유위강 작품이다. 60년 홍콩출신의 유위강은 촬영조수로 그의 홍콩영화인생을 시작했다. 정이건을 스타로 만들었던 시리즈에서 현란한 카메라 워킹으로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던 그는 홍콩 오락영화의 대가 왕정과 손잡고 무수한 홍콩식 액션영화를 만들었다..
2019.08.30 -
[동방불패] 무협영화의 새 장을 열다 (정소동 감독 笑傲江湖之東方不敗 Swordsman2 1991)
(박재환 1999) 홍콩영화에 있어 신기원을 이룬 작품이 몇 개 된다. , , 등등. 그 중 서극 또는 정소동의 만큼 아시아권에 크나큰 영향을 끼친 작품도 드물 것이다. 는 그 동안 축적된 홍콩영화의 특징이 그대로 나타난다. 동양적인 정서의 인간미를 느낄 수 있는 동시에 서극이 미국에서 익힌 SF의 특징도 충분히 볼 수 있다. 이 영화는 중국전통 소설작법에 바탕을 둔다. 물론 김용의 원작 뿐만 아니라 전형적인 무협-협객소설의 기본 프롯을 충실히 수행한다. 종족 간 혹은 계파 간의 갈등구조가 우선한다. 무협소설을 보면 가장 기본이 되는 줄거리는 '사부' 또는 '부모'의 원수를 갚기 위해 대결을 펼치게 되는 것이다. 이 영화는 明나라 지배계급인 한족(漢族)과 피억압세력인 묘족(苗族)간의 내재된 ..
2019.08.27 -
[첨밀밀] 같은 꿈, 다른 꿈의 연인 (진가신 감독 甛蜜蜜 Comrades: Almost A Love Story 1996)
(박재환 1999.3.10.) 여소군은 고향 무석에 두고온 애인 소정에게 선물을 보내려고 이교와 함께 보석가게에 들른다. 그리곤 똑 같은 팔찌 두 개를 사서는 하나를 이교에게 채워 주려고 한다. 그러자 이교는 아주 난감해 하며 화를 벌컥 내면서 그런다. "난 친구야. 무석의 소정은 애인이야. 이런 걸 주다니 어떻게 된 거야? 소정이 안다면. 이런 경우 친구라고 한다면 어떤 심정이겠니." 그러곤 얼마 있다 그런다. "내가 여기 온 목적은 네가 아냐. 너가 홍콩에 온 이유도 내가 아니었고 말야." 이교의 쌀쌀맞은 소리에 소군은 힘이 빠져 돌아선다. 거리에서 흘려 나오는 등려군의 노래를 듣게 된다. 그러곤 여소군은 마술에 걸린 것처럼 다시 이교에게로 달려와선 차에서 목을 빼낸 이교와 열정적인 키스를 한다. 그..
2019.08.27 -
[무림지존 = 모던 여래신장] 유덕화, 왕조현, 그리고 조달화 (황태래 감독, 摩登如來神掌 Kung Fu Vs Acrobatic, 1990)
장예모 감독의 이 있기 전에 이안 감독의 이 있었고, 그 전에 서극의 이 있었다. 물론 그 이전에 장철이나 호금전의 수많은 무협 쿵후영화들이 존재했다. 그 이전에는? 글쎄요? 홍콩의 영화사를 살펴보면 이미 오래 전에 ‘황비홍’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가 있었으며 ‘소림사’ 이름을 단 영화들이 수두룩하다. 중국영화사, 정확히는 홍콩영화사에서 초창기부터 이런 영화에 출연한 배우가 있다. 1930년대부터 영화를 찍기 시작하여 5~60년대에 수십 편의 황비홍 영화와 무협영화에 출연했던 배우가 조달화(曺達華)이다. 할아버지가 다 된 조달화는 성룡 영화에서 가끔 만날 수 있는 배우이다. ‘할아버지’ 조달화가 출연한 영화를 한 편 소개한다. 황태래 감독의 1990년도 작품 (摩登如來神掌)은 흥미로운 작품이다. 유덕화와 ..
2019.08.24 -
[용형호제] 성룡이 인디아나 존스보다 더 야성적인 이유 (성룡 증지위 감독 龍兄虎弟 Armour of God )
'성룡' 태그의 글 목록 www.kinocine.com (박재환 2008-6-2) 성룡의 자서전 [나는 누구인가: 성룡자술](我是誰 成龍自述)을 보면 이 영화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성룡은 이 영화의 시나리오 작업을 함께한 등경생(鄧景生)과 마찬가지로 둘 다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열성 팬이었다고 한다. 당시 큰 인기를 끌었던 [인디아나 존스] 시리즈에 영감을 얻어 그 오마쥬 쯤으로 이 영화를 만든 것이다. 성룡 팬이라면 성룡이 이 영화 찍다가 죽을 뻔했다는 사실을 기억할 것이다. [성룡자서전]에는 성룡이 그동안 영화 찍다 다친 그의 몸 상태에 대해 소개한 코너가 있다. 정말 머리에서 발끝까지 상처투성이이다. 영화판에 뛰어든 후에 대역배우와 엑스트라, 특기배우(스턴트맨)로 온몸이 성할 날이 없었고 스타..
2019.08.18 -
[소권괴초] 눈물젖은 빵의 맛을 아는 '성룡' (성룡 감독 笑拳怪招 The Fearless Hyena (1979)
(박재환 2005/2/1) 최근 [뉴 폴리스 스토리]의 한국 개봉을 앞두고 모 TV방송사에서 홍콩의 성룡 저택을 찾아가는 깜짝 인터뷰를 방영했었다. 성룡은 고급 스포츠 카 등 50여 대의 각종 차를 골라 타고 다닐 만큼 엄청난 부와 명성을 자랑하고 있다. 아시아 최고의 톱스타 자리에 있지만 여전히 한국말과 한국노래를 흥얼대며 대중적인 이미지로 살아있는 '영웅'이다. 그의 자서전을 읽다보면 눈물이 다 날 정도로 배고프고, 고생했던, 좌절의 순간들을 만나볼 수 있다. 이소룡 사후, 홍콩에서 쿵후액션물이 종말을 고할 때 성룡은 홍콩에서의 대역배우, 단역배우, 스턴트맨의 미래가 암담하다고 느끼고 호주로 부모를 찾아가는 장면이 있다. 그의 나이 스물 살 전후였다. 성룡은 홍콩에서의 고단한 삶을 그만 두고 말도 통..
2019.08.18 -
[실버호크] 양자경의 실버 호크 다운 (마초성 감독 飛鷹 Silver Hawk 2004)
(박재환 2004/2/7) [와호장룡]에서 주윤발과 장쯔이 사이에서 쌍칼을 들고 우아한 무술 실력을 선보였던 양자경은 말레이시아 출신 화교이다. 어릴 때부터 운동과 무용으로 몸매를 가다듬은 양자경은 1984년 홍금보 영화로 홍콩영화계에 진출하였고, [예스 마담] 시리즈 등 줄곧 액션영화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어느새 20년. 양자경은 이제 우리나이로 마흔 셋이라는 중년이 되어버렸다. 영원한 리얼 바디 액션스타 성룡만큼이나 양자경의 액션을 본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일 수도 있다. 재작년 엄청난 제작비를 쏟아 부으며 만든 영화 [터치]가 흥행실패로 돌아간 뒤 양자경은 자신의 영화 인생에 대해 좀 더 심각한 고민을 한 듯. 그러나, 양자경은 자신의 인생의 동반자(연인)이며 영화제작의 동료인 종재사와 함께 좌절이란..
2019.08.18 -
[밀도성숙시] 이려진, 청춘 삼급편 히로인 (李麗珍蜜桃成熟時,1993)
중국에는 아직 개봉영화에 대한 심의등급이 없다. 그래서 대부분의 영화가 꽤 많이 편집되어 온 가족이 같이 볼 수 있는 수준으로 개봉되거나, 아예 수입 금지된다. 홍콩도 의외로 늦게 영화심의 등급제도가 확립되었다. 1988년 말에 가서야 미국과 유사한 등급제도가 실시되었다. 1993년에 홍콩에서 이 영화는 아예 주인공 이름을 달고 [이려진밀도성숙시](李麗珍蜜桃成熟時)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 열다섯 살에 길을 가다 광고모델로 픽업되었던 이려진은 데뷔 초기 고지삼-황백명의 [개심귀] 시리즈나 장국영의 [위니종정] 같은 영화에서 풋풋한 소녀 역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다가 1993년, 이 영화 한편으로 단번에 에로영화계 최고의 스타가 되었다. 홍콩에서의 심의등급은 'III급'이다. 포르노물이 아니라 미국(M..
2019.08.17 -
[몽콕의 하룻밤] 크리스마스 이브에 생긴 일 (이동승 감독 旺角黑夜 One Nite in Mongkok 2004)
(박재환 2004.7.1.) [몽콕의 하룻밤]은 이번(2004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소개되는 최신 홍콩영화이다. 홍콩에서는 지난 5월 20일 개봉되었었다. '몽콕'(旺角)은 널리 알려진 대로 홍콩에서 가장 번잡스런 곳이다. 왕가위 감독의 [열혈남아]의 원제목이 바로 [몽콕하문](몽콕의 카르멘)이다. 고층건물과 연립주택, 수많은 샵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이곳은 밑바닥 인생들과 범죄조직이 활개를 치고 있을 우범지대 같다. (물론 몽콕은 관광객과 쇼핑객이 가장 많이 붐비는 곳이기도 하다!) [몽콕의 하룻밤]의 이동승 감독은 쇼브라더스 소속 배우로 영화인생을 시작했다. 그의 부친과 모친이 모두 유명 영화배우였다. 홍콩의 중견배우 진패와 액션배우 강대위는 이동승 감독의 배다른 형제이기도 하다. 이동승은 1..
2019.08.17 -
[아비정전] 날수 없는 청춘 (왕가위 감독 阿飛正傳 Days of Being Wild,1990)
(박재환 2002/10/26)왕가위 의 영어제목은 ‘Days of Being Wild’이다. 조금 시적으로 옮기자면 ‘뒷골목의 날들’정도가 어울릴 것 같다. 이 영화는 일본에서는 ‘욕망의 날개’(欲望の翼)로 소개되었다. 왕가위 영화에 대해서만은 우리나라 영화팬은 왕가위의 작명법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제목만으로는 이 영화가 어떠한 영화인지 전혀 짐작할 수 없다. 중국문학을 배운 사람이거나 루쉰(노신)에 대해 아는 사람이라면 혹시 과 관련지어 영화를 감상할지도 모른다. 은 확실히 문학적인 영화이다. 이문열의 만큼 방황하는 젊음의 순간을 그리고 있다. 왕가위 영화답게, 결코 거시적이거나 연대기적이지는 않다. 왕가위는 시간단위, 그것도 ‘분’ 단위에서 멈춰 선 한순간의 격정과 미세한 떨림만을 포착하..
2019.08.13 -
[위니종정] '아이돌 스타' 장국영 (풍세웅 감독 为你钟情, For Your Heart Only 1985)
(박재환 2003.4.10.) 1985년 장국영이 29살의 나이에 찍은 청춘드라마. 제작자는 황백명. 같이 나온 배우는 이려진(李麗珍), 맹해(孟海), 백안니(柏安尼), 나명주(羅明珠), 왕서기(王書麒) 등이다. 모르겠다고? –; 감독은? 풍세웅(馮世雄) 더 모르겠다고? 제목이 뭐라고? “위니종정!” 아, 장국영이 한(했)다는 그 레스토랑? 적어도 장국영의 열성 팬이라면 ‘위니종정’을 모를 리가 없다. 그런 이름의 ‘노래’가 있고, ‘앨범’이 있고, 홍콩에는 그런 이름의 ‘카페’가 있다. 홍콩을 찾는 장국영 팬이라면 한번쯤은 그 ‘위니종정’을 찾아가서 가게 사진을 찍고, 뭘 시켜먹고 오겠지. 혹시나 우리 ‘꺼거’가 가게를 순시하러 올지도 모르니. 그런데, 사실 장국영이 공동출자했던 이 가게는 몇 년 전 ..
2019.08.13 -
[양과와 소용녀] 장국영 옹정정의 신조협려 (杨过与小龙女 The Little Dragon Maiden 1982)
(박재환 2005/3/31) 오래 전 이 영화에 대한 리뷰를 올린 적이 있는데 최근 원작소설을 다시 읽은 뒤, 영화를 다시 한 번 보고, 리뷰를 다시 쓴다. 홍콩 일간지 (明報)의 주필이자 사장이며, 사주이자, 베스트셀러 작가인 김용(金鏞)은 ‘신필'(神筆)로 불린다. 1924년 중국 절강성 출신인 그는 1955년 나이 31살에 ‘서검구은록’을 필두로 왕성하게 무협소설을 써낸다. 이중 [사조영웅전], [신조협려], [의천도룡기]는 이른바 ‘사조3부곡’으로 불리며 김용 소설의 백미로 평가받고 있다. 이 소설은 모두 1950년대 말에서 60년대 초에 쓰여졌지만 그 후 김용은 몇 차례 가필, 수정작업을 진행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신조협려]에 대한 대대적인 수정작업을 했었고 그 수정본이 ‘김영사’에 의해 새..
2019.08.13 -
[신 최가박당] 허관걸+맥가 vs. 장국영+리지(新最佳拍档 Aces Go Places5, 1989)
(박재환 2002/6/10) (....홍콩 흥행기록 관련내용...) 홍콩 역대 박스오피스 기록을 살펴보면 주성치와 성룡이 출연한 영화가 아니면서도 꽤 인기를 끌어던 프랜차이즈 영화를 만나볼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시리즈이다. 1982년 1편을 시작으로 모두 5편이 만들어졌다. 1편 최가박당 (증지위 감독 1982년) 2편 최가박당 대현신통 (증지위 감독 1983년) 3편 최가박당 여황밀령 (서극 감독 1984 ) 4편 최가박당 천리구차파 (임영동 감독 1986) 5편 신최가박당 (유가량 감독 1989) 영어제목이 ‘Aces Go Places’인 (最佳拍档)은 ‘최고의 콤비’, ‘베스트 파트너’라는 뜻이다. 영화에서는 뺀질이 ‘킹콩’ 허관걸(许冠杰)과 조금은 멍청한 ‘대머리’ 맥가(麦嘉)가 최고의 파트너..
2019.08.13 -
[인지구] 장국영, 실패한 자살…. (관금붕 감독 胭脂扣 Rouge,1987)
(박재환 2003/4/24) 홍콩 원제목 ‘胭脂扣’의 한글발음(독음) [연지구]이다. 그런데, 처음 영화가 소개될 때 [인지구]라고 해서 여전히 [인지구]가 되어버렸다. 아마, 기초한자 1800자에 포함되지 않았기에 그런 듯. (한글워드프로세서에는 胭가 ‘목구멍 연{인}’으로 나온다. 장국영이 (2003.4.1.) 갑작스레 생을 마감한 후 홍콩의 많은 연예인들은 충격과 슬픔에 빠졌다. 그의 장례식 날 홍콩의 웬만한 톱스타들은 다 얼굴을 내비쳤다. 살아생전 장국영이 얼마나 동료의 사랑과 신뢰를 받았는지 짐작할 수 있는 순간이었다. 그런데 장국영의 사망에 모두들 슬픔에 빠져있을 때, 홍콩 언론들이 가장 관심을 가진 동료 연예인은 ‘매염방’이었다. 매염방과 장국영은 20년 절친이었다. 매염방과 장국영 두 사람..
2019.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