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영화리뷰(235)
-
[반근팔냥] 미스터 부를 아시나요 (허관문 감독,1976) 왓챠
할리우드의 초대형 스트리밍업체의 대공세를 맞이한 국산 OTT라인업을 살펴보다 반가운 영화를 만났다. 홍콩영화 [미스터 부] 시리즈가 올라와 있는 것이다. 엄격하게 이야기하면 ‘미스터 부’는 프랜차이즈 물은 아니다. 홍콩의 허관문(許冠文)형제가 1974년 출연한 이후 일련의 코미디 영화가 일본에 소개될 때 [미스터 부] 시리즈라며 홍보용으로 연결시킨 것이다. 불세출의 홍콩 액션스타 이소룡이 갑작스레 세상을 떠난 뒤 골든 하베스트를 구한 사람이 바로 허관문이다. 허관문은 1970년대 혜성같이 등장한 엔터테이너이다. 코미디언이자 TVB 쇼프로그램 진행자였다. 쇼 브러더스가 만든 [대군벌](72)이 흥행 성공한 후 세 편을 더 찍고는 이소룡 사후의 골든 하베스트와 작업하며 은인이 된다. 그 첫 작품이 바로 ..
2021.11.20 -
[이도공간] 장국영의 부활, 그리고 장국영 죽음의 박제
장국영이 다시 돌아왔다. 그것도 커다란 극장 스크린에. 찬란했던 홍콩영화의 한 때를 기억하고, 스타 장국영에게 환호했던 세대라면 반가울 수밖에. 그런데 이 영화가 장국영의 유작이라는 사실을 알면 묘한 기분이 들 것이다. 1956년 태어난 홍콩스타 장국영은 2003년 4월 1일, 거짓말같이 팬 곁을 떠나갔다. 그리고 해마다 4월이면 그의 영화가 조용히 영화팬을 찾는다. 극장이든, 영화채널이든, OTT에서든. 올해는 조금 우려곡절 끝에 그의 영화 [이도공간]이 그의 부재를 아쉬워하는 팬들에게 돌아왔다. 장국영이 몰락해 가는 홍콩영화계의 불쌍한 3류 에로 영화감독으로 출연했었던 [색정남녀]가 바로 나지량 감독의 데뷔작이다. 이 영화를 공동감독했던 이동승 감독의 [창왕](더블 탭)에 이어 다시 [이도공간]을 함..
2021.08.24 -
[쇼크 웨이브2] 얼마만의 유덕화인가!
[분노의 질주2]가 코로나로 잔뜩 움츠렸던 극장가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을 때 뜻밖의 영화가 한 편 같이 개봉한다. 홍콩스타 유덕화(류더화)가 출연하는 ‘쇼크웨이브2’(원제:拆彈專家2)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2017년 개봉되었던 ‘쇼크웨이브’의 속편이다. 1편에서 폭발물 해체전문가로 출연한 유덕화는 홍콩섬과 주룽 반도를 연결하는 해저터널을 폭파시키려는 테러단에 맞서 대활약을 펼치다 마지막에 장렬하게 산화한다. 그럼 속편은? 전편과 무관하게 이야기가 진행된다. 대신 유덕화는 여기서도 ‘폭발물해체전문가’로 등장한다.그리고 이번에는 폭발의 규모가 훨씬 크다. 악당들은 소형 핵무기로 홍콩공항을 날려버리고 홍콩을 괴멸시키려한다. 중요한 것은 유덕화가 악인인지, 선인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영화를 보기 전에 알..
2021.05.21 -
[중경삼림] 왕가위 1994년 홍콩 러브스토리
코로나 때문인지 웬만한 영화는 다 ‘리바이벌’되는 듯하다. 그 아이러니한 잔칫상에 왕가위 영화가 빠질 순 없을 것이다. 왕가위 영화가 ‘디지털 리마스터링’이라는 화려한 왕관을 쓰고 극장에서 관객을 다시 부른다. 그리고 OTT서비스 ‘왓챠’에서도 그의 영화를 선보이고 있다. 언제 적 왕가위며, 언제적 홍콩이야기인가. 이 영화는 1995년에 한국에서 개봉되었었다. 그리고 26년 만에 다시 만나는 중경삼림. 첫사랑을 다시 만나는 느낌이랄까. 한때는 열광하던, 그러나 끝없는 자기복제로 홍콩영화란 것이 도매금으로 쓰레기취급 받을 때 왕가위는 혼자 빛났던 별이다. 시네필들은 그의 작품에 열광했었다. 홍콩의 (자기들 말로는) ‘영화로운 중국회귀’에 맞춰서 특히나 열광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중경’(충칭,重慶)은 스촨(..
2021.03.26 -
[아비정전] 왕가위 전설의 초석 (阿飛正傳 Days Of Being Wild,1990)
홍콩 왕가위(왕지아웨이) 감독은 한때 많은 영화팬들의 우상이었다. 자기복제를 거듭하는 홍콩느와르와 넘쳐나는 쿵푸무협물 속에서 고고하게, 도도하게 자신만의 미학을 밀어붙였던 우직한 작가주의 영화감독의 전범이었다. 그의 전설적 작품 이 최근 넷플릭스에 공개되었다. 물론, 그의 작품은 회고전을 통해, DVD를 통해, 왓챠를 통해 맘만 먹으면 쉽게 볼 수 있었다. 다시 보니 여전히 반갑고 우울했다. 왕가위 감독은 그 ‘화려하고도 분잡스러운’ 홍콩영화계에서 시나리오 작가로 발을 디뎠다. 그가 각본을 쓴 작품목록을 말하면 아마 놀랄 것이다. 저런 대가가 저런 작품을? 여하튼 그런 과정을 거쳐 그는 1988년 를 내놓았다. 크리스토퍼 도일의 유려한 카메라에 잡힌 홍콩의 어두운 작품을 ‘왕가위스럽게’ 만든 것이다. 홍..
2020.12.24 -
[ 천수위의 낮과 밤] 안분지족의 삶 (허안화 감독 天水圍的日與夜/The Way We Are, 2008)
지난 주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메가박스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제22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SWIFF2020)가 개막되었다. ‘여성과 영화’라는 어젠더를 결합시킨 SWIFF는 확실한 컨셉트와 관계자의 열정으로 꽤나 중요한 영화제로 자리 잡았다. 올해는 코로나 사태로 제한적인 범위에서 행사가 치러지지만 영화제의 관록을 보여주듯 훌륭한 프로그래밍과 알찬 행사를 준비했다. 오래 주목받는 프로그램은 홍콩 허안화(許鞍華) 감독 회고전이다. 허안화 감독은 1970년대 초중반에 TV방송사(TVB)에서 지금 봐도 인상적인 사회파 드라마를 다수 찍었고, 홍콩 신낭조(누벨버그)의 대표주자로 홍콩영화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수많은 작품을 내놓았다. 회고전을 통해 초기 TV드라마 네 편과 (79), (90) ,(06), (09) ..
2020.09.14 -
[귀타귀] 29살 날렵한 홍금보, 강시와 싸우다
여름이면 각광받던 그 시절 호러영화의 대표적 캐릭터로 ‘프랑켄슈타인’(의 괴물), ‘드라큘라’, ‘소복 입은 여자’가 있었다. 최근 들어서는 할리우드와 한국에서도 좀비가 각광받고 있다. 이들 개성강한 캐릭터들이 스크린을 지배할 때 홍콩에서는 아주 독특한 캐릭터가 한 시대를 풍미했었다. ‘강시’(僵尸)라는 것이다. ‘강시’는 ‘엎어져서 뻣뻣하게 굳은 시체’라는 뜻이다. 이미 죽어서 땅에 쓰러져 사후강직이 일어난 사람이 어떤 사유로 벌떡 일어나 콩콩 뛰며 산 사람에게 달려드는 것이다. 기겁할 일이다. 강시가 등장하는 영화로 1980년 홍콩에서 개봉된 홍금보 주연의 를 많이 언급한다. 이듬해 한국에서도 개봉된 이 영화가 최근 OTT서비스 왓챠에 올라와 있기에 소개한다. 복장이나 주택구조로 보아 청말-민국시기인..
2020.08.04 -
[버추얼 웨폰] 우와 재밌다 --; (원규 감독, 夕陽天使 So Close/ Virtual Weapon,2002)
이 영화의 감독은 원규(元奎)이다. 1972년 이소룡 레전드 작품 에서 배우로 영화인생을 시작한 사람답게 액션물에 강점을 보인다. 그는 수많은 홍콩영화에서 배우로, 감독으로, 무술감독으로 활약해왔다. 그러고 보면 이 영화가 전체적으로 형편없음에도 불구하고 액션 씨퀀스만은 화끈한 게 적어도 '킬링타임 용 홍콩액션무비'의 비디오 값은 한다는 느낌이 들 것이다. 각본을 쓴 사람은 기안(技安)으로 나온다. 누구냐고? 이 사람이 그 유명한 유진위이다. 주성치의 걸작 부터, 왕가위와 함께 ,을 만든 사람. 이 사람은 가끔가다가 자신이 각본을 맡은 영화의 크레딧을 '기안'으로 올려 신비감을 높인다. 그런데, 이 영화는 하나도 웃기지도 컬트틱하지도 않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서기, 조미, 그리고 막문위이다. 이들과 함..
2020.05.19 -
[명검] 홍콩 누벨버그 걸작무협, 담가명의 전설 (담가명 감독, 名劍 / 譚家明 The Sword, 1980)
‘누벨바그’(Nouvelle Vague)는 1950년대 후반에 시작된 프랑스의 새로운 영화운동 사조(思潮)를 일컫는다. 프랑수와 트뤼포, 클로드 샤브롤, 장 뤽 고다르, 에릭 로메르 감독들이 판을 뒤집어엎겠다며 새로운 감각의 영화를 열심히 찍었었다. 그런 영화정신은 홍콩에도 전해졌다. 홍콩영화계에서는 1980년대 들어 기존의 영화판을 뒤집는 시도가 이어졌다. 주로 미국과 영국에서 영화를 공부한 일단의 젊은 영상학도들이 TV방송국에 몸담았다가 자신들의 영상미학으로 작품을 만들기 시작한 것이다. 허안화(풍겁/투분노해), 담가명(열화청춘/명검), 서극(접변), 방육평(부자정), 장완정(가을의 동화)이 대표적인 감독이다. 이들이 일으킨 영화운동이 바로 ‘새로운 물결’이라는 의미를 가진 홍콩 신낭조(香港新浪潮/H..
2020.04.06 -
[금수전정] 장국영 리즈시절 “젊으니까 청춘, 믿으니까 친구” (진가상 감독 錦繡前程 Long and Winding Road 1994)
지금부터 17년 전인 2003년의 만우절 날, 정말 거짓말 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홍콩스타 장국영(레슬리 청)이 자살했다는 것이다. 과 , 그리고 의 그 장국영이 팬들 곁을 허망하게 떠나간 것이다. 그 날 이후 해마다 이때 즈음이면 그의 빈자리를 그리워하는 팬들이 그의 영화를 다시 찾아본다. OTT서비스인 왓챠플레이에는 쉽게 만나볼 수 없는 그의 출연작이 하나 포함되어있다. 이다. ,, 등과 함께 1994년 홍콩에서 개봉되었던 작품이다. 반가운 작품이다. 은 1990년대 홍콩영화 황금기를 끝날 무렵에 나온 작품이다. 특정 장르 영화의 자기복제가 넘쳐나던 한때가 지나가고, 재능 넘치던 영화인들이 이 영화 저 영화에서 자신들의 재능을 남발하던 시절 말이다. 장국영과 함께 양가휘, 관지림이 출연한다. 아룽(장..
2020.03.31 -
[전로정전] 정신병자를 바라보는 사회의 시각
***(박재환 2020.3.10) 이 글은 거의 20년 전에 쓴 글입니다. 제가 '정신병자'라고 표현을 했었네요. 의학용어로 정확히 뭐라 지칭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영화 내용으로 봐서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조현증이라고 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전문가가 아니어서.. 혹시 그런 분을 비하하거나, 일방적으로 매도하려는 생각은 전혀 없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 (2001년에 쓴 글입니다) 요즘 비디오 가게들이 줄도산을 하고 있단다. 케이블TV에는 영화채널이 넘쳐나고, DVD라는 새로운 매체가 인기를 끌고, 인터넷에는 수많은 동영상 파일이 돌아다니고 있다 보니 비디오 가게 출입이 잦아질 수밖에. 그러니 곳곳에서 문 닫은 비디오 가게에서 쏟아져 나오는 비운의 비디오테이프가 넘쳐난다. 요즘 이러한..
2020.03.05 -
[천하제일] 호금전식 무협 블랙 코미디 (호금전 胡金銓 감독 天下第一 All the King's Men 1982)
(박재환 2001.7.7.) 2001년 부천판타스틱 국제영화제 사상 최고의 기획이라고 평가되는 '호금전 회고전'에서는 호금전 감독의 최고 걸작이라고 일컫어지는 를 비롯하여 모두 5편의 작품이 소개된다. 부천영화제 김영덕 프로그래머는 이번 기획전을 위해 오랫동안 홍콩-대만의 여러 기관과 접촉하여 작품을 수급하려 하였지만 개별 작품들의 판권이 모두 나뉘어져 있고, 소장가들이 필름을 내놓지 않아 겨우 다섯 편만을 가져올 수 있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게 어딘가. 오랫동안 한국에서는 '호금전'이라는 이름에 비해 그의 작품 세계에 대한 평가는 고사하고 조망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니 말이다. 아니, 그런 기회조차 가지질 못했다. 대중노선(?)에 따라 철저히 봉쇄되어왔다고 해야 할 것 같다. 물론, 그의 작품..
2019.09.18 -
[흑협] 배트맨 이연걸 (이인항 감독 黑俠 Black Mask 1996)
(박재환 2003.2.6.) 의 감독은 장국영이 나왔던 나 유덕화의 의 이인항 감독이다. '멜로 더하기 액션' 혹은 원래는 액션물인데 멜로라는 외피만 걸친 작품을 잘 만드는 감독이다. 하지만 영화를 보면 확실히 서극 작품이란 걸 알 수 있다. 서극은 이 영화에서 제작과 각본을 맡았다. 액션감독은 과 의 우아한 쿵후 씬을 만들어 국제적인 스타가 된 원화평 할아버지가 맡았다. 북방의 어느 나라 혹은 어느 곳에서 '701부대'라는 특수부대가 있었다. 이 부대에서는 비밀리에 놀라운 인체실험을 진행하고 있었다. 부대원을 상대로 뇌신경 조직의 통증세포를 축출시키는 수술을 진행한다. 그렇게 하면 이 사람은 외부에 의한 신체적 고통을 전혀 느낄 수 없는 초인적인 전사가 되는 것이다. 물론 슈퍼맨 양성 프로그램이었지만 ..
2019.09.18 -
[협골인심] 닥터 토니 (등특희 鄧特希 감독 俠骨仁心 Healing Hearts 2000)
(박재환 2002.11.21.) '메디컬 드라마'란 게 있다. 이나 신은경 나왔던 TV드라마/영화 이 많은 인기를 누린 적이 있다. 의 영향인지 로빈 쿡의 소설 덕분인지 홍콩에서도 메디컬 드라마가 만들어졌다. 먼저 이란 프로가 인기를 끌자 곧바로 속편이 만들어졌고 다른 방송사에서는 이 만들어졌다. 둘다 홍콩의 종합병원에서 일어나는 인간적인 드라마를 재구성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영화의 제작과정을 좀 더 소개하자면 우선 홍콩의 TVB(無線電視)에서 이 방송되어 인기를 끌었다. 이 드라마에는 오계화, 소미기(정이건의 한때 오랜 연인으로 알려진 배우), 진호, 몽가혜 등이 출연했었다. 이 드라마를 만들던 '등특희'는 홍콩 영화계의 마이더스 '왕정'에게 캐스팅되어 을 찍게 된다. 왕정은 등특희 감독에게 극장판..
2019.09.09 -
[삼국지 용의 부활] 부활하는 조자룡 (이인항 감독 三國志見龍卸甲 , Three Kingdoms: Resurrection Of The Dragon , 2008)
(박재환 2008.4.8.) 베이징 올림픽이 열리는 올해는 확실히 중국영화의 해인 모양이다. 중국이 깃발을 휘날리고 할리우드와 홍콩, 한국의 자본들이 앞 다투어 참여한 중국 대작영화들이 줄줄이 만들어지고 개봉되고 있다. 어떤 영화들? 오우삼이 할리우드 작품 활동을 접고 다시 중원으로 돌아와서 [적벽]을 준비 중이며, 성룡과 이연걸이라는 불세출의 액션 스타 두 명이 함께 출연하는 [포비든 킹덤]도 주목받고 있다. 이 외에도 많은 빅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그 라인업에 [삼국지-용의 부활]도 관심을 끈다. 우리가 다 아는 ‘유비-관우-장비’의 이야기가 아니라 조자룡(趙子龍)에 초점을 맞춘 영화이다. 이 영화는 하마터면 양조위 등이 출연하는 오우삼 감독의 [적벽] 때문에 아류작 신세가 될 뻔도 했지만 나름대..
2019.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