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영화리뷰(235)
-
[용재변연] 龍在邊緣 위기의 남자
[Reviewed by 박재환 2003-1-7] 원제의 '변연(邊緣)'이란 일반적으로 '모서리', '가' 라는 뜻이고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는 극한의 상황을 의미하기도 한다. 쉽게 말해 절체절명(絶體絶命)의 위기에 처한 龍(드라곤)이란 뜻이다. 누가? 10년 전 흑사회에서 완전히 손을 뗀 우리의 ‘슈아이꺼’ 유덕화? 아니면 경찰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자마자 흑사회에 위장침투한 고천락? 흥미진진한 이야기이다. 작년(2002년) 12월 12일에 개봉된 는 2002년 홍콩에서 최고흥행기록을 세웠다. 지금도 계속 돈을 벌고 있고 말이다. 는 홍콩영화평론가들로부터도 호평을 받았다. 유덕화는 흑사회에 위장잠입한 경찰 역을, 양조위는 경찰에 들어간 흑사회 조직원으로 분해서 서로 숙명의 연기대결을 펼쳤다는 평..
2008.02.23 -
[리틀 청=세로상] 어린이의 눈으로 본 1997년 홍콩
[Reviewed by 박재환 2001-8-18] 홍콩영화계의 걸출한 독립영화인 프루트 챈 감독의 , , 그리고 세 편을 흔히 이라고 한다. 그의 다음 작품 은 의 속편이라고도 말한다. 이들 영화는 홍콩인들의 '九七回歸'에 대한 태도, 생각들을 담고 있다. '구칠회귀'는 홍콩을 백여 년간 차지하고 있던 영국이 물려나고, 중국이 다시 그 종주권을 차지하는 것을 말한다. 의 원제는 이다. '세로'는 광동어로 어린 소년, 꼬마애를 뜻한다. 홍콩의 액션스타 이소룡은 우리가 흔히 아는 같은 쿵후영화에 나오기 훨씬 전에 아역배우였다. 그것도 열살이 되기 전에 출연했던 몇몇 작품은 아직도 홍콩걸작으로 손꼽힌다. 그가 아역배우로 출연했던 작품 중에 이라는 영화가 있다. 프루트 챈의 이 영화에서 할머니가 보던 TV에서 ..
2008.02.23 -
[극속전설] 정이건의 레이스 (유위강 감독 烈火戰車 2 - 極速傳說, The Legend Of Speed 1999)
(박재환 2000.4.5.) 얼마 전 국내에 개봉되었던 의 감독 이동승의 1995년 작품으로 라는 것이 있다. 유덕화와 양영기가 나왔던 영화였는데 스피드에 목숨을 거는 홍콩의 젊은이들을 로맨틱하게 그린 작품이다. 그 영화에서 다룬 부모와의 갈등, 청춘의 고뇌 등은 제임스 딘의 고전 영화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소재이다. 에서는 폭주하는 모토사이클의 열정에 가족의 복원이라는 따뜻함이 더해져 평단과 흥행에서 좋은 성적을 올렸었다. 자기 복제에 능한 홍콩 영화계가 이 영화의 속편을 안 만들 리가 없을 것이다. 아니나다를까 홍콩 영화계는 새로운 피와 새로운 기술로 속편을 만든다. 제목은 이다. 주인공은 이제 홍콩의 신세대 스타 정이건이 맡는다. 정이건을 둘러싸고 본드 걸처럼 장백지와 임희뢰가 가세한다. 이동승..
2008.02.23 -
[대성소사] 상하이의 잠 못 이루는 밤
[Reviewed by 박재환 2004-3-1] 연인들끼리 초콜릿을 주고받으며 사랑을 고백한다는 발렌타인 데이는 이미 중국에서도 젊은이들 사이에는 이미 하나의 풍습으로 받아들여졌다. 정인절(情人節)이라 불리는 이날에 맞춰 몇 편의 기획성 영화들이 제작 개봉되었는데 여명의 [대성소사]라는 작품이 포함되어 있다. 이미 몇 차례 자기의 뮤직 비디오와 광고 등의 작품의 감독을 직접 맡았던 여명은 이 작품에서 창작감제라는 일종의 프로듀서 역할까지 맡았다. 중국 북경 태생의 여명은 적당한 영화촬영 장소를 선택하는 수완을 보이기도 했다. 영화 촬 당시부터 여명과 왕비의 스캔들 만들기에 열을 올리던 홍콩매체들은 이 영화가 [첨밀밀]의 뒤를 잇는 러브스토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오랜만에 영화에 출연하는 왕비와 두 북경 ..
2008.02.23 -
[최후태감] 중국의 마지막 내시 (장지량 감독 中國最后一個太監 1987)
(박재환 2001.11.28.) 내시(內侍), 환관(宦官), 태감(太監)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이들 존재에 대해서는 대부분 그다지 좋지 않은 인상을 갖고 있다. 생물학적으로 거세당하여 남자로서의 역할을 못할 뿐더러, 역사의 고비마다에서 이따금 파토를 놓는 정의롭지 못한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TV의 사극 드라마나 코미디 프로를 막론하고, 내시는 언제나 찬밥 취급은 고사하고 괴물 대접을 받아왔다. 이들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는 최근 부산영화제에서도 상영된 신상옥 감독의 란 작품이 있다. 사실 '내시-환관-태감'이라는 직책, 혹은 존재는 중국, 한국 뿐만 아니라 서양(eunuch)에서도 발견되는 역사적 인물이다. 역사에 처음 등장하기로는 전쟁에서 사로잡힌 포로들을 거세하여 노예로 삼았다는 공통점이 ..
2008.02.23 -
[장문인] Lady is the Boss
[Reviewed by 박재환 2004-5-21] 신은경이 출연한 [조폭 마누라]는 홍콩에선 [와이프는 보스](我老婆係大佬)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소림사 정통무술 전수자나 뒷골목의 칼잡이들이 스크린의 주인공으로 활약하는 홍콩 영화팬에게는 요조숙녀같은 와이프가 칼들고 설치는 것이 참신한 모양이다. 그런데 홍콩에서도 이런 류의 영화는 있었다. 1983년 유가량 감독의 작품 중에 [장문인](掌門人, Lady is the Boss)이라는 영화가 있다. 제목으로 보자면 뭔가 있을 것 같다. 영화는 고리타분한 홍콩의 한 무술도장(華强國術會)이 도로를 닦기 위해 헐리면서 벌어지는 소동부터 보여준다. 이 도장의 터줏대감인 황 사부는 이 영화의 감독이기도 한 유가량이다. 무술을 배우겠다는 사람은 오직 다섯 명뿐이다...
2008.02.23 -
[쿵푸 허슬] 이소룡의 기억, 막대사탕의 순정 (주성치 감독 功夫, Kung Fu Hustle, 2004)
(박재환 2005.1.12.) 홍콩 최고 흥행작품은 2001년 여름에 개봉된 주성치의 [소림축구]이다. 이 영화는 홍콩에서 모두 6천만 HK$의 수익을 올렸다. 오늘(2005.1.12) 현재 주성치의 신작 [쿵푸 허슬]은 5,431만 HK$의 수익을 올리며 자신의 최고 기록 갱신을 준비 중이다. 물론, 이 영화는 중국에서만 이미 1억 6천 만元의 흥행수익을 올려 중국영화 역사상 가장 높은 흥행수익을 올린 중국어영화로 기록되게 되었다. 이연걸과 주윤발이 떠나버리고 성룡이 그다지 이름값을 못하고 있을 때 주성치는 자신의 '네임 벨류'를 엄청나게 증폭시키고 있다. [소림축구]는 기존의 주성치 영화세계뿐만 아니라 홍콩영화의 '넥스트 버전'이 어찌해야하는가를 명시적으로 보여준 일대 사건이었다. 홍콩이 자랑할 만한..
2008.02.23 -
[오귀스트, 쿵후의 왕] 프랑스 남자의 중국사랑
[Reviewed by 박재환 2001-12-17] 홍콩에서 태어나 8살에 영국으로 이민 갔던 장만옥. 그는 1983년 홍콩으로 건너와서 출전한 미스 홍콩대회에서 2등상을 탄 후 영화계에 데뷔했다. 그녀의 초기영화는 연기력을 내세우기보다는, 그야말로 [꽃 한송이] 이상의 역할을 하지는 못했다. 에서 성룡의 새침때기 여자 친구 역할이 초기 영화에서 기억나는 장만옥? 그러나 장만옥은 이후 수많은 영화에 출연하면서 서구적인 이미지로 똑 부러지는 캐릭터를 소화해낸다. 그녀는 홍콩 금상장과 대만 금마장에서 여러 차례 연기상을 탔고, 92년에는 으로 베를린영화제 여우주연상을 타며 서구에도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녀가 프랑스 감독과 사귄다는 이야기가 있더니 어느날 올리비에 아사야스와 결혼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올리..
2008.02.23 -
[유성어] 별똥별이 아름다운 것은 순간이기에…. (장지량 감독 流星語,1999)
(박재환.2001.3.22) 장지량 감독의 최근 작품으로는 두 여인의 우정을 그린 라는 영화가 있다. 그의 영화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은 ‘은은히 흐르는 정(情)’에 있다고 한다. 이번 영화 도 그러하다. 인생의 대전환기를 겪은 한 중년과 꼬마아이와의 우정, 혹은 부성애가 이 영화가 대변하는 정이다. 장지량 감독은 홍콩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의 제작하게 된 경위를 자신의 경험담에서 떠올렸다고 말했다. 어느 날 버스를 탔는데 한 임신한 여성이 버스에 외롭게 앉아있는 모습을 쳐다보다가 문득 현대사회의 고독감 같은 것을 떠올렸던 모양이다. 그는 창밖 사람들의 무표정한 얼굴 등에서 남다른 감회를 느꼈었다고 한다. 그리곤 찰리 채플린의 1921년 걸작 흑백영화 를 보고선 이내 이 영화를 만들기로 했다고..
2008.02.22 -
[강호] 송충이는 솔잎만 먹고 살아야... (황정보(黄精甫) 감독 江湖 Brother 2004)
(박재환 2004.10.18.) 중국무협물이나 무협소설에서 '강호'(江湖)라는 단어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그게 장철 스타일의 시대물이든 [영웅본색] 류의 현대 홍콩 느와르이든 간에 뭔가 남성적인 미학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래서 홍콩영화에서 만나보게 되는 '강호'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그 스펙트럼이 넓다. [와호장룡]이나 [영웅본색]에서만 '강호'가 운위되는 것이 아니라 '고혹자'시리즈와 '타락천사'에서도 강호의 숨결을 느낄 수 있다. '강호'의 어원에 대한 자세한 고찰은 뒤로 미루고 [장자[(莊子)의 [대종사편](大宗師篇)에 나오는 '강호'만 소개하겠다. 泉涸,魚相與處於陸,相呴以濕, 相濡以沫,不如相忘於江湖。與其譽堯而非桀也,不如兩忘而化其道 이 심오한 문장의 뜻을 어설피 옮기는 것보단..
2008.02.22 -
[가유희사] 즐거운 우리 집 (고지삼 감독 家有喜事 All’s Well, Ends Well ,1992)
홍콩에는(크게 중화권에서는) ‘하세편’(賀歲片,Chinese New Year Movie)이란 것이 있다. 그들이 최고의 명절로 치는 ‘음력’ 설 시즌에 개봉되는 영화로 일정한 룰이 있다. 스타급 배우들이 대거 출연하여 왁자지껄한 소동을 펼친다는 그러면서 영화 전편에 ‘가정의 중요성’을 재인식시켜주고 “올 한 해도 돈 많이 벌기 바란다”(恭禧發財 꽁시 파 차이)라는 중국식 새해 인사를 올린다는 것이다. 1992년 설에 홍콩에서 개봉된 도 그러하다. 이 영화는 엄청난 흥행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 등의 속편 격의 영화가 만들어졌다. 홍콩의 한 평화로운 대가족. 노부부(관해산,이향금)와 세 아들이 산다. 큰 아들 황백명-오군여 부부, 둘째 아들은 플레이보이인 라디오DJ 주성치, 셋째 아들은 성격이 계집애같은 ..
2008.02.22 -
[디 아이2] 임산부 서기, 귀신을 보다 (팽 브러더스 감독 見鬼2 The Eye 2, 2004)
(박재환 2004.4.12.) 부천판타스틱영화제를 통해 [방콕 데인저러스]와 [디 아이]가 차례로 소개되면서 국내에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한 팡 브러더스의 국적은 어디일까? 옥사이드 팡과 대니 팡이란 재밌는 이름의 이 팡 형제의 중국어 이름은 팽발(彭發)과 팽순(彭順) 다. 둘 다 홍콩출신이다. 쌍둥이니까 당연히 출생지와 생일이 같을 수밖에. 형 팽순은 필름 조색사(調色師)로 이름을 날리다가 광고업계에 한동안 종사했다. 그러다가 태국으로 건너가서 영화감독이 되었고, 동생 팽발은 홍콩에서 영화 편집 일을 했다. [풍운]으로 금상장 편집상을 받을 정도의 실력가이다. 최근 작품 [무간도]에서도 그의 이름을 볼 수 있다. 이 두 형제가 합작으로 내놓은 작품이 [방콕 데인저러스]와 [디 아이]이다. [디 아이]는 ..
2008.02.22 -
[철수무정] PiFan2004, 쇼브라더스, 그리고 나열 (장철 감독 鐵手無情 The Invincible Fist 1969)
(박재환 2004.7.25.) 먼저, 개인적인 이야기부터.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이지만 '영화'분야에 있어서도 우리나라엔 정말 '매니아+오타쿠+열성팬'들이 많다. '이른바' 수준 높은 유럽쪽 영화부터, '수준'운운했다간 악플 맞기 딱 좋은 B급 호러에 이르기까지 '전문가'가 즐비하다. 중국어권 영화도 마찬가지이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 영화판이라는 강호에 '쇼 브라더스 시절의 영화'에 대한 전문가가 꽤 된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았다. 지금이야 중국영화전문가네 하고 이쪽 글을 주로 쓰고 있지만 난 그들의 적수가 되지 못한다. 내가 기억하는 홍콩영화는 아마도 초등시절에 누군가를 따라가서 본 [비도권운산]과 아마도 수호지의 '무송'이 호랑이 때려잡던 어떤 영화였을 것이다. (남들은 본 날짜까지 다 기억하는데 난 그..
2008.02.22 -
[화양연화] 제어할 수 없는 감정의 순간들
[Reviewed by 박재환 2000-10-5] 최고의 인기감독이라할 수 있는 왕가위 감독이 신작 를 가지고 부산을 찾았다. 그의 예전영화가 모두 그러하듯이 엄청난 산고(産苦) 끝에 영화제 관계자(물론, 깐느를 포함하여)의 애를 달굴대로 달궈놓고 마침내 기다림에 지친 영화팬들앞에 그 전모를 드러낸 것이다. 어제 서울에서는 왕가위 감독과 두 주연배우 장만옥, 양조위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 프리미어를 진행하였다. 의 정성일 편집장은 의 상영에 앞서 이 영화를 이렇게 소개했다. "이 영화를 본 영화관계자들의 반응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도저히 영화의 내용을 따라갈 수가 없다는 것이었고, 또 하나는 왕가위감독 영화중 최고의 걸작이라는 것'이라고. 그리고, 온갖 소문과 온갖 사전 정보로 무장한 열성 팬앞에서 의 ..
2008.02.22 -
[인생] 진행형으로서의 삶
이 리뷰와 관련하여 글쓴이 박재환은 아래와 같이 공고합니다 1. 이 글은 박재환이 최초 1998년 12월 27일이 작성 웹에 올린 글입니다. 2. 이 글은 이후 대학 중국역사/ 교양영화 관련 강의 수강생들이 단골로 베껴가는 글이 되었습니다. 3. 그러던 중 어느 교수(강사인지 교수인지는 모름)가 '중국영화 관련책자'를 내며 이 글을 거의 통채로 베껴 게재하는 어이없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사건을 인지한 후 그 사람과 통화를 했고 사과를 받았습니다. 그냥 넘어갔는데.. 이후 그 책을 어떻게 읽은 독자가.. 제 사이트 글을 보고는 댓글을 달았습니다. 제(박재환)가 자기 교수 책을 보고 베꼈다고 어쩌니저쩌니 하는 것입니다. 정말 어이가 없습니다. 그 일 이후 이 리뷰를 고치고 싶어도 못 고칩니다. 네티즌 여러분..
2008.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