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4. 20. 19:57ㆍ홍콩영화리뷰
(박재환 1999.11.22.) 이 영화를 잘 못 보면 ‘닥터 베쑨(베튠)’ 이야기인 줄 안다. 서구 출신의 의사로 중국 혁명에 뛰어든 베튠과는 달리 이 영화에 등장하는 의사는 페인이라는 사람이다. 그가 1930년대 상해의 외국인 조계지를 배경으로 혁명과 반혁명의 중국 현대사를 지켜보며 그 후일담을 적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보여주는 것은 ‘붉은 혁명’의 열정이라든지, 동아시아 국가 중국에 대한 애정 같은 것은 아니다. 다분히 멜로물이며, 지극히 통속적인 이야기인 것이다.
1930년대 상해는 여전히 중국인보다는 외국인이 더 큰소리치며 살 수 있는 곳이었고, 공산혁명분자가 활개를 치던 아지트였고 국민당 비밀요원들이 그들을 끊임없이 쫓고 처형하던 역사의 공간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에서 미국인 의사 로버트 페인은 어느 날 밤 뜻밖의 방문을 받게 된다. 치우치우(秋秋)라는 중국 여성이었는데 유창한 영어로 도움을 청한다. 의사는 내키지 않은 방문이었지만 여자의 묘한 매력에 이끌러 따라나선다. 그를 기다리는 환자는 심한 외상을 입은, 그리고 간질 증세를 보이는 ‘진’이었다. ‘진’은 상해를 배경으로 혁명 활동을 하던 공산분자였고, ‘치우치우’는 그를 돌보는 혁명동지였다. 페인은 이후 이들을 둘러싼 복잡한 중국의 현대사를 지켜보게 된다. 결국은 치우치우의 불행한 가족사와 그들의 비참한 최후까지 목격한다. 그리고 그들이 남긴 딸 ‘진주’를 페인이 키우게 된다. 1949년 인민해방군이 상해를 접수하고, 이제 페인은 그들 부모가 목숨 바쳐 이룬 건국신화를 지켜보게 되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공산 중국이 혁명에 성공하기까지 뿌린 혁명동지의 피와 희생을 낭만적으로 그린 영화인 셈이다. 장국영이 빨갱이로 출연했다는 것이 의외이며, 이런 영화가 요즘 왜 만들어졌는지도 의아스럽긴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 영화가 중국의 ‘자금성영화사’가 만든 대륙 영화임을 알면 그리 놀랄 일도 아니다. 치우치우 역의 ‘매정’은 남경 출신의 대륙 배우이다. 장국영 외에 많은 서구 배우들이 출연하고 대사의 대부분이 영어로 이루어진다. (장국영은 런던에서 공부한 배우라서 영어를 잘한다)
중국 건국 50주년을 즈음하여 나온 영화이긴 하지만 특별히 훌륭한 작품이라곤 할 수 없다. 하지만 1930년 즈음하여 중국 대륙에서 펼쳐지던 국민당과 공산당의 드라마틱한 세력 대결을 염두에 둔다면 꽤나 흥미진진할 수도 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중국 상해의 현재 모습이 잠깐 나온다. 상해탄에 우뚝 쏫은 탑이 그 유명한 ‘동방명주’ 방송 송신탑이다.
(2003.4.23. 추가) <타임 투 리멤버>는 1999년에 썼던 리뷰입니다. 꺼거가 떠난 후, 다시 보고 새로 쓸까 하다가.. 그냥 몇 자 덧붙입니다..
1. 장국영이 맡은 역할은 공산당원-정확히는 국민당 시절의 공산당지하당원입니다. 이 때문에 논란이 좀 있었지만 장국영의 소감은…. “나는 공산당원에 대해서는 조금도 모른다. 나는 홍콩인으로서, 특히 예술을 하는 사람으로서 정치적으로 접촉한 적이 없다. 나는 진짜 중국인이다. 단지 3개월 만에 공산당원을 연기해 내라고 한다면 감독의 지시에 따를 수밖에 없다”라고 대답.
2. 이 영화의 감독 엽대응은 중국출신의 감독. 94년에 <홍앵도>(紅櫻桃)라는 영화로 중국의 영화상인 백화장 최우수작품상을 받았었다. 이후 이 사람의 예명이 ‘엽앵’이 되었다고.
3. 장국영과 공연하는 행운을 안은 ‘매정’이라는 배우는 당시 24세의 신인. 7살에 남경의 어린이예술단에 가입한 후 연예계 무대활동을 해왔었다고.
4. 중국자금성영화사는 설립 2년 동안 이 영화를 포함하여 <갑방을방>, <뇌봉이 떠나던 날> 등 화제작을 잇달아 내놓았다. 99년 중국극장가에서 <타이타닉>이 흥행 1위를 차지했을 때 <홍색연인>은 자국 영화로는 최고 흥행기록을 세웠다. 중국내 수익은 2,500만 인민폐. (박재환 1999/11/22)
[타임 투 리멤버|홍색연인|紅色戀人] (A Time to Remember/ Red Lovers,1999) 감독: 엽대응 출연: 장국영, 매정(梅婷), 토드 밥콕 홍콩개봉: 1999/11/18
A TIME TO REMEMBER紅色戀人红色恋人陶泽如매정타임 투 리멤버토드 밥콕역사-영화엽대응홍콩영화장국영(1956-2003)LESLIE CHEUNGTODD BABCOCK张国荣梅婷
'홍콩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J 7] 주성치의 이.티. (0) | 2008.09.01 |
---|---|
[적벽대전] 역사 삼국지, 소설 삼국지, 영화 삼국지 (10) | 2008.07.17 |
[도화선] 견자단 추조룡의 리얼 육박전 영화 (0) | 2008.06.19 |
[쾌찬차] 성룡, 원표, 홍금보, 그리고 스페인 미녀 (홍금보 감독 快餐車 Wheels on Meals 1984) (1) | 2008.06.09 |
[오복성] 이른바 ‘복성’시리즈 영화 (0) | 2008.06.05 |
[초시공요애] 양조위, 조은숙 사랑에 빠지다 (0) | 2008.04.20 |
[썬더볼트] 성룡의 벽력화 (0) | 2008.04.20 |
[쓰리 타임즈] 후효현 감독의 ‘가장 아름다운 시절’ (1) | 2008.04.20 |
[쓰리, 몬스터 - 홍콩 편 덤플링즈] 젊음의 묘약 (0) | 2008.04.20 |
[쓰리] 그 중에서도 제일은 세번 째 진가신 것이니.. (0) | 2008.04.20 |